'전문대졸 이상' 일자리 온통 서울에…지방 소도시가 쓰러진다

입력 2022-11-10 15:13수정 2022-11-10 16: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강남3구', '마용성' 대졸 이상 싹쓸이

전문대졸 이상의 학위가 필요한 고학력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지방 일부 지역의 경우 취업자 절반 이상이 ‘중졸 이하’에 머무는 등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의 저학력화는 지역 경쟁력과도 직결된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본지가 10일 통계청 ‘2022년 지역별 고용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국 취업자의 교육수준은 중졸 이하가 37.4%, 고졸은 34.9%, 전문대졸 이상은 30.4%였다. 거주지 기준 취업자의 전문대졸 이상 비중 상위기초단체는 서울과 그 인근지역에 쏠렸다. 지역별로 서울 서초구가 82.04%로 가장 높고 경기 과천시(81.23%), 서울 강남구(80.59%)가 뒤를 이었다. 서울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와 동작구도 전문대졸 이상 비중이 70% 안팎을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도심을 제외한 지역의 취업자 저학력화가 심각했다. 부산은 전문대졸 이상 비중이 가장 높은 해운대구가 60.14%, 가장 낮은 영도구는 35.26%에 머물렀다. 대구는 수성구(66.10%)가 가장 높고, 서구(37.44%)가 가장 낮았다. 인천은 가장 높은 중구가 52.17%에 불과했다. 옹진군은 18.39%였다. 광주는 가장 높은 서구가 61.10%, 가장 낮은 광산은 47.90%였다. 대전은 유성이 70.85%로 가장 높고 동구가 43.48%로 가장 낮았다. 울산은 남구가 54.83%(최고), 중구는 42.24%(최저)였다. 세종은 63.92%로 비수도권에선 상대적으로 높았다.

도지역은 전반적으로 전문대졸 이상 비중이 낮은 데 더해, 기초단체 간 격차도 심했다. 일부 군지역은 중졸 이하가 지역 내 주된 경제활동인구였다.

경기는 연천군이 26.14%로 1위 과천의 3분의 1을 밑돌았다. 강원은 춘천시가 50.8%로 가장 높고, 고성군(23.52%) 등 7개 군지역은 20%대에 머물렀다. 충남·충북에선 계룡시와 청주시가 각각 61.14%, 50.38%로 가장 높았다. 충남 청양군과 충북 보은군은 각각 21.27%, 18.99%였다. 제주는 제주시(57.06%)가 서귀포시(41.53%)보다 15%포인트(p) 이상 높았다.

특히 영호남은 일부 지역의 전문대졸 이상 비중이 10%대에 불과했다. 전북 전주시(50.31%), 전남 순천시(49.33%), 경북 포항시(50.86%), 경남 진주시(51.55%) 등 도내 대도시들은 전문대졸 이상 비중이 50% 안팎을 기록했으나, 전북 임실군(16.42%), 전남 고흥군(17.03%), 경북 의성군(18.73%) 등은 20%도 안 됐다. 오히려 이들 지역에선 중졸 이하가 취업자의 절반가량을 점유했다. 중졸 이하 비중이 전북 진안군은 49.24%, 임실은 52.44%, 전남 고흥은 51.87%, 신안군은 50.52%에 달했다. 영남에선 경북 의성이 49.81%, 경남 산청군은 47.77%, 합천군은 47.07%였다.

영호남 군지역의 저학력화는 주로 청년층 유출에 따른 경제활동인구 고령화에 기인한다. 임실과 고흥, 의성은 취업자 중 65세 이상 비중이 각각 40.9%, 44.6%, 41.8%에 달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군 단위에 교육수준이 낮은 외국인 근로자가 많긴 하지만, 그 규모가 통계에 영향을 미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취업자 중 중졸 이하가 많은 주된 배경은 인구 구성이며,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고령층이 주된 취업자이기 때문이다.

취업자의 저학력·고령화는 지역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 고용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고학력을 요구하는 사업체들이 이탈하면서 일자리가 줄어 인구가 추가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지방에 일자리를 늘려야겠지만, 그것만으론 청년 등 유출을 막는 게 한계가 있다”며 “기본적으로 지방에 머물 때 소득이 높아져야 한다. 기업에 세제혜택을 늘려 임금 증가로 이어지도록 하고, 내일채움공제와 같은 직접적인 소득지원을 지방 중소기업에 맞춰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