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인물] 강삼권 벤처기업협회장 “디지털 인재가 곧 경쟁력…기업 노력만큼 정부가 도와줘야”

입력 2022-11-24 16:04수정 2022-11-24 17: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체 벤처기업 3만 7000개…SW인재 10만 명 이상 필요
대기업, 벤처기업 인재 유출에 ‘도덕적 예의’ 필요
벤처기업 해외 진출 위해 정부 지원 절실

▲강삼권 벤처기업협회장 (벤처기업협회)

디지털 인재는 경쟁력의 원천이지만 찾기는 어렵습니다. 벤처기업협회가 다방면으로 뛰고 있으니 기업인 여러분은 경영에 집중하시면 됩니다.

24일 본지와 만난 강삼권 벤처기업협회장은 벤처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 유치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벤처기업에서 기른 인재가 대기업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정부의 지원도 요청했다.

벤처기업협회는 벤처기업을 인증하고 업체의 경영환경 개선과 성장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회원사는 1만7500개에 달한다. 강삼권 회장은 지난해 2월부터 협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본인 스스로도 시가총액 2400억 원의 기업인 포인트모바일의 대표이다.

턱없이 부족한 디지털 인재…벤처기업에 인력난 가중

현재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는 디지털 인재는 이들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SW정책연구소에 따르면 향후 5년간 SW 전문 인재는 총 32만4000명이 배출될 예정이다.

반면 인력 공급은 수요를 훨씬 밑돈다. SW정책연구소는 SW 인력 수요를 35만3000명으로 예상했다. 벤처기업도 인력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벤처기업협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벤처기업 한 곳당 3명의 SW인력이 부족하다. 전체 벤처기업이 3만7000여 개라는 점을 고려하면 인재가 10만 명 이상이 필요하다.

강 회장은 벤처기업에게 인력난은 큰 문제점으로 다가올 것으로 우려했다. 벤처기업에 입사하려는 신입 SW 인력의 수도 적을뿐더러 2년 이상 경력을 쌓은 인재는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그는 “SW를 전공했어도 적어도 2년은 실무에서 훈련을 받아야 한다”며 “협회는 벤처기업 맞춤형 인재를 기르고 유출을 막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인재 확보에 팔 걷어붙인 벤처기업협회…아카데미ㆍ산학협력 진행

우선 벤처기업협회는 인재 확보를 위해 자체적으로 민관 합동 벤처ㆍ스타트업 아카데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산학협력도 진행 중이다.

민관 합동 벤처ㆍ스타트업 아카데미 사업은 지난해 4월 벤기협이 정부에 제안해 같은해 10월 사업화 됐다. 벤기협이 구직 수요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 한다. 총 750명의 배정인원 중 564명의 교육을 실시했고, 올해 10월 말까지 186명의 취업자를 배출했다.

강 회장은 “멀티캠퍼스와 협업해 지능형 웹서비스 풀스택 개발자, 시큐어코딩 앱 개발자, 메타버스 기반 게임 콘텐츠 등을 양성하는 과정을 운영 중이고, 채용예정 기업의 실무를 2주간 경험해볼 수 있다”며 “인재와 벤처기업이 만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대학교와의 산학협력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강 회장은 “원광대학교와 올해 2학기 학점 연계 과정을 개설해 교육을 이수하면 바로 채용할 수 있도록 했다”며 “호남권 대학 벨트를 구성해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확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현재의 대학 교육에 아쉬움을 표했다. 취업 후 현장에서 바로 일할 수 있는 인재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교육 커리큘럼이 바뀌고, AIㆍ빅데이터처럼 최첨단 분야 학과는 대학 정원 총량규제 예외가 허용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비쳤다.

정부, 벤처기업이 인재 양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민간 중심’ 바우처 필요

강 회장은 “인재를 양성해 벤처기업과 연결하려고 노력하지만 벤기협만 노력해서는 한계가 있다”며 “기업이 스스로 인재를 키울 수 있도록 정부가 도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먼저 정부의 바우처 산업이 기업 중심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은 정부가 직접 SW인재 훈련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기업은 여기서 배출한 인재를 채용하는 구조다.

▲SW인력 고도화 바우처 사업 추진 프로세스 (벤처기업협회)

강 회장은 기업이 직접 훈련 기관을 선택해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고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통해 자금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프로그램 내용이 실무와 동떨어진 부분이 많고, 각각의 벤처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는 “정부는 협업으로 연결된 기업과 교육훈련기관에 대해 투트랙 형식으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며 “교육훈련기관의 프로그램 수준은 올라가고 기업은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해외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달라고도 했다. 국내에서 수요를 충족할 수 없으니 세계로 눈을 돌려야한다는 이유에서다.

강 회장은 “한국 기업이 외국인 전문인재를 고용 할 수 있는 비자(E-7) 발급 기준은 까다롭다”며 “낡은 규제를 풀고 외국인 취업을 유연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당장 비자 발급 규제를 완화할 수 없다면 KOTRA 등에서 운영하는 인턴채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기업, 인력유출에 ‘도덕적 예의’ 필요…벤처기업 자체 지원도 있어야

문제는 벤처기업 맞춤형 인재를 길러도 대기업으로 유출되면 인재난은 그대로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특히 강 회장은 대기업의 수시채용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 대기업에서 수시로 필요할 경우 인력을 채용하다보니 당장 실무에 투입 할 수 있는 대리‧과장급 인력이 이직해 벤처기업 경영에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는 것이다.

그는 대기업이나 대형 플랫폼 기업이 벤처기업의 인력 유출에 대해 최소한의 도덕적 예의를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풍부한 자금이 있는 만큼 신입을 키우려는 노력도 같이 병행해야 한다고도 강하게 비판했다.

정부에 대한 쓴소리도 있었다. 시장 자율에만 맡기지 말고 벤처기업이 우수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지원책을 강력하게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삼권 벤처기업협회장 (벤처기업협회)

기업의 규모도 크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해 있다면 인재가 벤처기업을 먼저 찾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벤처기업의 ‘개인기’로 할 수 있다면 가장 좋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대기업처럼 오래 쌓인 노하우나 시스템이 없어서다.

현재 전체 벤처기업 중 해외에 수출하는 곳은 20.9%에 불과하다. 80%의 벤처기업은 좁은 내수 시장에서 경쟁하려고 애쓰고 있는 것이다.

강 회장은 “해외진출ㆍ수출을 시도하는 기업이 늘고 있지만 경험과 역량이 부족해 정부의 지원 없이는 어렵다”며 “협회도 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INKE)을 활용해 글로벌 진출에 힘을 쓰고 있는 만큼 정부의 도움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