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녀의 시선으로 역사의 여백 읽었죠"...'궁녀로운 조선시대' 조민기 작가

입력 2022-12-11 09: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일 서울 종로의 한 카페에서 만난 '궁녀로운 조선시대' 조민기 작가 (박꽃 기자 pgot@)
“왕도 사관도 남성이니까 기록에는 그들의 시선이 들어가 있어요. 궁녀에 대한 기록은 굉장히 성의 없이 남겨진 편이라, 부스러기를 찾아가는 것과 같았죠. 객관적이고 냉정한 태도로 증거를 찾아서 역사의 여백과 행간을 읽어냈습니다.”

신간 ‘궁녀로운 조선시대’를 집필한 조민기 작가를 지난 7일 서울 종로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는 문정왕후와 돈독한 관계를 형성했던 창빈 안씨, 숙종의 사랑을 독차지했던 희빈 장씨, 세종과 세조의 신임을 받았던 조두대처럼 권력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했던 조선시대 궁녀 8명의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를 책으로 담았다.

‘궁녀로운 조선시대’ 속 궁녀는 왕의 승은을 받는 데만 골몰하고 있는 수동적인 여인이 아니다. 나라의 녹봉을 받는 공무원으로서 제각각 특성에 따라 전혀 다른 삶을 개척해 나간 이들이다.

처세술의 달인 창빈 안씨는 중종의 사랑을 두고 문정왕후와 경쟁하는 대신, 그를 상전으로 받들어 모시는 쪽을 택해 평생 안정적인 입지를 보전받는다. 노비 출신으로 두뇌가 총명했던 조두대는 세종의 한글 창제 과정에 기여하고, 세조 시절 작성된 능엄경 발문에 이름 석 자를 새기는 등 권력의 정점에 서기도 한다.

조 작가는 "잘 알려진 궁녀와 처음 듣는 궁녀가 모두 존재해야 했다. 그러면서도 어느 정도 인생의 드라마가 있고, 그를 뒷받침하는 자료까지 있어야 하니 인물을 선정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집필 과정을 돌이켰다.

▲'궁녀로운 조선시대' 책표지 (교보문고)

조 작가는 조선왕조실록, 선원록, 인현왕후전, 수문록 등 출처가 분명한 기록물을 토대로 궁녀를 선별해 그들의 역할을 증명해 나간다. 이 과정을 통해 때로는 세간에 알려진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대표적인 게 장희빈으로 잘 알려진 희빈 장씨 사례다. 조 작가는 숙종의 진실한 사랑을 독점한 장희빈이 인현왕후를 지지한 노론 세력에 의해 악독하기 그지없는 인물로 평가절하됐다고 주장한다. “대선 후보가 나올 때 지금의 여야가 서로 다른 주장을 하는 것처럼,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는 것이다.

책에는 “그의 무덤은 ‘대빈묘’로 불렸고 사당은 ‘대빈궁’으로 불리는데 후궁의 지위 앞에 ‘대(大)’를 붙인 사람은 희빈 장씨가 유일하다”면서 “후대에 노론이 만들어낸 여론처럼 희빈 장씨가 간악한 악녀이고 죄악이 끔찍해 이제 질려버린 숙종이 그를 죽였다면 이러한 행적을 설명할 수 없다”고 적었다.

노비 출신으로 권력의 정점에 섰던 조두대, 김개시를 다루는 4장은 가장 흥미로운 대목 중 하나다. 언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던 조두대는 세조 시절 불경 능엄경을 한글로 번역하는 작업에 참여한다. ‘능엄경언해’에서는 “신미와 사지, 학열, 학조 스님이 잘못된 번역을 고치면 최종적으로 세조가 보고 난 후 조두대가 문장을 소리 내어 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 작가는 “조두대, 김개시는 자기 능력을 마음껏 발휘하고 권력의 끝까지 올라간다”면서 "훈민정음해례본 서문이 언급한 ‘아침나절이 되기 전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 28자를 통달하여 이해한 사람’은 조두대일 것"이라고 추론했다.

그는 궁녀에 관한 제한된 기록을 토대로 역사의 행간을 읽어내는 책의 특성상 혹여라도 "'조민기 작가의 '뇌피셜' 아니냐'는 소리가 나올까봐 더 열심히 사료를 찾았다"고 고백하며 웃었다.

창빈 안씨, 희빈 장씨 등 궁녀를 지칭하는 표현이 비슷하게 중복돼 역사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읽기에는 혼란스러울 수 있겠다는 질문에는 “그 사람을 주체적으로 그려나가기보다는 그 이름을 준 사람을 떠올리게 될 수밖에 없는 점이 아쉽다”면서도 “그 헷갈림을 견딘 뒤에는 조선왕조 500년 역사의 어떤 한 조각을 새롭게 알게 되는 즐거움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무엇보다 누군가의 시선에 의해 서술된 역사의 한 대목을 다시 그려보는 여정 자체가 의미 있을 거라고 짚었다. "이미 결론이 난 것을 다시 돌아보는 과정에서 많은 것이 새롭게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책의 서문에는 이렇게 썼다.

“거대한 역사의 흐름에서 바라본다면 우리도 이름 없는 궁녀처럼 희미한 존재일 수 있다. 우리가 궁녀를 ‘왕의 여자’로 단정하는 것처럼 후대가 우리를 한 단어로 단정해버린다면 억울하지 않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