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소형 무인기가 서울 상공까지 침투했지만, 우리 군은 결국 격추에 실패했다.
26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5분께부터 경기도 일대에서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항적이 포착됐다.
이날 북한의 무인기 5대는 비무장지대(DMZ)를 넘어 민간마을 지역까지 남하했다. 4대는 강화도 일대에서 비행했고, 한대는 경기도 파주 인근 민간인 거주지역 상공을 지나 서울 상공까지 넘어왔다.
서울까지 침투한 무인기는 남한 상공을 3시간 정도 휘젓고 북한으로 돌아갔고, 나머지 4대는 탐지에서 소실되기까지 총 5시간여 작전이 진행됐다고 합참이 밝혔다.
대응에 나선 우리 군은 5시간여에 걸쳐 작전을 펼쳤음에도 이들 무인기를 격추하는 데 실패했다. 우리 군은 이들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을 포착한 뒤 즉각 KA-1 경공격기를 비롯해 전투기 등 공군전력과 육군 공격헬기를 발진시켰다. 북한의 무인기 조종 인원이 알아차릴 수 있게끔 경고방송도 실시했다.
하지만 북한 무인기들이 우리 측 민가와 도심지 상공을 상당 시간 비행함에 따라 우리 군은 관련 피해를 우려해 무인기들이 민간인 지역을 벗어날 때까지 사격을 가하지 않은 채 추적만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던 중 우리 군 헬기가 인천 강화 교동도 인근 해안 상공을 날던 북한 무인기 1대를 레이더로 탐지했고, 100여 발의 사격에 나섰지만, 격추에 실패했다.
사격은 헬기에서 20㎜ 기관총으로 이뤄졌으며, 대부분은 무인기를 겨냥한 조준 사격이 아니라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을 향해 발사된 것으로 전해졌다.
격추하지 못한 무인기는 북한으로 돌아가 버렸기 때문에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지 파악하기 어렵게 됐다. 남한 상공에 5시간여를 머무른 무인기는 상당한 분량의 정찰 정보를 챙겨갔을 가능성이 있다.
또 해당 무인기가 무장했는지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자칫 폭탄 등을 탑재했다면 상당한 물적·인적 피해가 수반될 수도 있는 아찔한 상황이 벌어졌을 수도 있다.
이유가 어찌 됐든 우리 군이 전장 2m급 북한의 소형 무인기를 상대로 한 작전에 실패했다는 평가는 면치 못하게 됐다.
한편, 이번 북한 무인기 대응 지원을 위해 강원도 원주기지에서 출격한 공군 KA-1 경공격기 1대는 이륙 뒤 횡성 지역에 추락하는 사고도 났다. 군 당국은 이번 추락 사고 원인 또한 함께 조사 중이다.
KA-1에 타고 있던 조종사 2명은 다행히 비상탈출에 성공해 생명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