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체제 비판 가능성 경계
JP모건, 컴플라이언스 우려로 제한
공립학교 등 교육기관도 제한 나서
2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중국 규제 당국은 알리바바그룹과 텐센트 등 자국 빅테크 기업들에 자사 서비스에 챗GPT를 제공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또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개시하려면 사전에 규제 기관에 보고하도록 했다.
많은 기업이 그간 텐센트 메신저 ‘위챗’에서 챗GPT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당국의 압박에 텐센트는 일부 서비스 제공을 중지시켰다.
중국에서 챗GPT는 공식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지만, 일부 네티즌은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공개된 챗GPT는 출시 2개월 만에 월간 활성 사용자가 현재 1억 명을 확보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질문에 대해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대답하는 것은 물론 상당한 수준의 에세이나 보고서를 써내면서 기술업계의 새로운 혁신 상징이 됐다. 하지만 출시 후 시스템의 편향성이 문제로 지적됐다. 결과 값이 부적절하거나 오류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중국 정부가 챗GPT 전면 차단에 나선 것은 시진핑 지도부에 대해 비판적인 답변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챗GPT가 학습한 데이터가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작성된 논문이나 신문기사, 서적, 소셜미디어여서 중국에 비판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이다. 중국 관영 영자 매체 차이나데일리는 “AI 기반의 챗봇 서비스가 미국에 의한 가짜 정보의 확산과 전 세계적인 여론조작을 조장할 수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중국 기업들은 자체 챗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리옌훙 바이두 최고경영자(CEO)는 자체 개발 챗봇인 ‘어니봇(Ernie Bot)’을 검색엔진 등 자사 서비스 전반에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이 챗GPT의 답변이 자체 검열과 통제에서 벗어날 것을 두려워했다면 월가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준법) 규정에 저촉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JP모건체이스가 제3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상적인 통제 일환으로 직원들의 챗GPT 사용을 제한했다고 전했다. 민감한 고객 정보를 다루고 있는 업계 특성상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은행 12곳이 2021~22년 직원들의 개인 메시징 서비스 무단 사용으로 총 20억 달러(약 2조6000억 원) 이상의 벌금을 내기도 했다.
이와 별개로 대학 등 미국 주요 교육기관들도 학생들의 과제 사용에 악용될 수 있다며 이용 제한에 나섰다. 아마존도 지난달 직원들에게 챗GPT 사용 과정에서 회사 기밀 정보를 노출시키지 말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