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라 “연준, 잠재적 금융 안정성 위험에 금리 내릴 것”
2년물 미국채 금리, 1987년 이후 최대 낙폭
글로벌 금융주 시총 이틀만에 608조원 증발
우리 정부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SVB 사태 여파를 예측하기 어렵다”며 “필요하다면 관계기관 공조하에 신속히 시장안정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SVB 사태로 연준이 금리 인상 폭을 축소하거나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는 가운데 긴축 사이클에 진입한 지 1년여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다음 주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시장 분위기가 완전히 뒤집혔다. 불과 이달 초만 해도 지배적이던 ‘빅스텝(금리 0.5%포인트(p) 인상)’ 전망은 자취를 감췄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p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밟을 확률은 89.3%까지 치솟았다.
더 나아가 일본 자산운용사 노무라홀딩스는 “잠재적 금융 안정성 위험에 대응해 연준이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인다”며 “양적긴축도 중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VB 사태 이후 연준의 우선순위가 금융시스템 안정으로 기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거침없이 금리를 올렸지만,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담보로 해야 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는 설명이다.
기준금리에 민감한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시장 분위기를 반영해 급락했다. 최근 3거래일간 하락 폭이 100bp(1bp=0.01%p)를 넘어 금리가 한때 3.98%까지 곤두박질쳤다. 1987년 이후 최대 낙폭으로, 연준이 숨 고르기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 결과다.
SVB 사태 여파로 전 세계 금융주 시가총액은 2거래일간 4650억 달러(약 608조1270억 원) 증발했다.
다른 중앙은행들도 셈법이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이 아직 불안한 상태이지만, SVB 사태 후폭풍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상은 부메랑이 될 가능성이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럽중앙은행(ECB)이 16일 회의에서는 금리를 0.5%p 인상할 것으로 보이지만, SVB 파문으로 추가 금리 인상에 반대하는 의견이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국은행도 다음 달 11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지난달에 이어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수출·소비 감소 등 경기 둔화와 10개월 만에 4%대로 떨어진 물가 등이 동결 결정의 근거다.
이 같은 동결 요인에도 미 연준이 금리를 가파르게 인상한다면 한미 금리차 축소를 위해 인상 카드를 꺼내 들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었는데,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춘다면 한은으로서도 국내 상황만 고려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SVB 사태 확산 여부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취약한 저축은행이나 카드사 등에서부터 유동성 부족이 나타나 은행 등 전체 금융기관을 흔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날 한은이 공개한 2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단기 자금시장과 채권시장에서의 유동성 사정 악화는 진정됐으나, 주택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가계대출이 줄어들면서 유동성 지표의 위축이 지속되고 있다”며 “부동산 부문과 비우량 기업에 대한 신용 경계감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융기관의 대출 태도도 신중해지면서 앞으로도 신용공급의 축소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