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따른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 이후 중소기업이 입은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ㆍ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 시장이 확대될 것을 기대하는 목소리는 컸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30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54.4%로 절반을 넘었다.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기업 중 매출이 50억 원 이상 100억 미만인 중소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매출 100억 원 이상, 매출 50억 원 미만이 이었다. 매출이 클수록 일본 정부의 조치에 입은 타격이 작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타격을 입었다고 답한 중소기업의 비중은 45.6%로 그 중 21.4%가 수출 감소로 인한 피해가 가장 크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수출입 통관지연 등 물류 차질(9.8%)’, ‘소재‧부품‧장비 등 수급 차질(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 중 74.3%가 일본과 수출을 매개로 교류가 있다고 응답했다. 대일 수출 중소기업의 34.5%는 소재‧부품을 판매했고, 그 뒤를 ‘기계장비(29.2%)’, ‘문구‧생활용품(16.4%)’ 등이 이었다.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로 타격을 입지 않은 중소기업의 수가 조금 더 많았지만 기업들은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과의 교류가 확대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과 교류가 확대될 경우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답변이 76.6%로 가장 높았고, 의향이 없다는 답변은 23.4%에 그쳤다.
일본과의 경제교류 활성화 기대 분야로는 수출확대가 84.1%로 가장 높았고, ‘인적‧기술교류 확대(14.6%)’, ‘통관 등 물류 원활화(12.9%)’, ‘소재‧부품‧장비 수입 원활화(11.2%)’ 등이 있었다.
중소기업이 일본과의 경제교류 확대를 주저하는 이유로는 ‘일본 시장 매력도 저하’가 39.4%로 가장 컸고, 원자재 등의 분야에서 국산화를 완료했다는 응답이 19.7%로 두 번째로 높았다.
일본과의 경제교류 확대 시 협력 또는 정부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는 ‘일본시장 판로개척 지원’이 6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업종별 교류 확대(34.5%)’, ‘원천기술 협력(8.9%)’, ‘디지털‧콘텐츠 분야 협력(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한국의 소부장 중소기업은 일본기업이 가지고 있는 원천기술이 필요하고, 한국에도 ICT 등 첨단기술을 가진 중소기업들이 많은 만큼 한‧일 양국 기업 간에 활발한 기술·인적교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