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들, 우크라전서 중립 입장
이들 끌어들이는 것이 국제질서 유지 필수
맞춤형 지원으로 우호 관계 구축 박차
올해 G7 의장국인 일본은 선진국과 글로벌 사우스의 교량 역할을 하겠다는 의욕을 강하게 내비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달 국빈방문 당시에도 ‘글로벌 사우스’와의 관계 강화를 거듭 강조했다. 선진국인 ‘글로벌 노스(Global North)’를 대표하는 엘리트 그룹인 G7 의장국으로서 올해 G20 의장국이자 글로벌 사우스 리더 격인 인도와의 관계를 확실히 다져놓겠다는 것이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달 20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인도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FOIP)’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파트너”라면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모디 총리를 초청한다고 밝혔다. 모디 총리도 참석 의사를 밝혔다.
이보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올해 초 연두 기자회견에서도 “대립과 분단이 표면화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결속을 다지려면 글로벌 사우스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식량·에너지 위기에 함께 대응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닛케이아시아(닛케이)는 기시다 총리가 글로벌 사우스와의 관계 강화를 외교 정책 기둥으로 삼고 있다고 평가했다.
남반구 개발도상국을 뜻하는 글로벌 사우스에는 동남아시아와 남미, 아프리카 국가들이 포함된다. 이들 국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서 서구나 러시아·중국 중 어느 편에 서지 않고 중립인 국가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일본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흔들린 국제질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경제 규모나 인구 측면에서 G7의 존재감은 갈수록 축소되는 반면, 글로벌 사우스는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G7의 국내총생산(GDP)은 1980년 전 세계 60% 이상을 차지했지만 2010년 50%로 줄었다.
그러나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현재 에너지 가격 상승과 식량 위기, 기후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각국의 필요에 맞는 지원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의식한 일본 정부는 보따리를 풀었다. 기시다 총리는 인도 국빈 방문 당시 인도·태평양 개도국 인프라 정비를 위해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750억 달러(약 98조 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안보 면에서 미국의 안보전략에 발맞춰 무상지원을 제공하고, 기후변화와 식량 안정공급, 감염병 대책 분야에서도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을 지원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미 일본은 인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외국인 투자자다. 닛케이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일본이 투입한 투자금은 400억 달러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