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022년 가족돌봄청년 실태조사' 결과 발표…평균 돌봄기간 46.1개월
중증질환·장애·치매 등 가족을 돌보는 청년들이 주평균 21.6시간을 돌봄에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우울감은 일반 청년의 7배를 웃돌았다.
보건복지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가족돌봄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통해 지난해 4월부터 5월까지 전국 중·고교생과 만 13~34세 청년 4만383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가족돌봄청년으로 확인된 810명에 대해 7월부터 9월까지 추가 심층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가족돌봄청년의 주당 평균 돌봄시간은 21.6시간이었다. 주돌봄자인 경우에는 주당 돌봄시간이 32.8시간에 달했다. 평균 돌봄기간은 46.1개월, 주돌봄자는 54.7개월이었다. 돌봄 대상 가족은 할머니(39.1%), 형제·자매(25.5%), 어머니(24.3%), 아버지(22.0%), 할아버지(22.0%) 순이었다. 돌봄 대상자의 건강상태는 중증질환(25.7%), 장애인(24.2%), 정신질환(21.4%), 장기요양 인정 등급(19.4%), 치매(11.7%) 순으로 많았다.
구체적인 돌봄활동(중복답변)은 가사(68.6%)가 가장 많았다. 함께 시간 보내기(63.7%), 병원 동행·약 챙기기(52.6%)가 뒤를 이었다. 옷 갈아입히기, 세안·목욕 돕기, 용변 보조 등 자기관리 돕기는 39.1%였다. 가족돌봄청년의 34.4%는 가사활동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가족돌봄청년 중 삶에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22.2%로 일반 청년(10.0%)의 2배를 넘었다. 주돌봄자는 32.9%에 달했다. 특히 우울감 유병률은 61.5%로 일반 청년(8.5%)의 7배를 웃돌았다. 주돌봄자는 10명 중 7명(70.9%)이 우울감에 시달렸다. 미래 계획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은 36.7%였으며, 주돌봄자의 경우 이 비율이 46.8%에 달했다.
복지·돌봄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가족돌봄청년 비율은 각각 59.3%, 52.7%였다. 돌봄서비스의 경우 재가방문·시설이용 서비스 이용 비율(41.6%)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본인부담 금액은 30만 원 미만이 47.0%였다. 100만 원 이상은 14.0%였다.
이들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복지서비스(중복답변)는 생계 지원(75.6%), 의료 지원(74.0%), 휴식 지원(71.4%), 문화·여가(69.9%) 순이었다. 복지서비스 욕구는 응답자 특성별로 차이를 보였다. 주돌봄자는 심리 지원(76.8%), 19~34세 청년은 휴식 지원(77.6%)을 1순위로 꼽았다.
최종균 복지부 최종균 인구정책실장은 “더 이상 가족에 대한 돌봄 부담으로 청년이 본인의 미래를 포기하는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체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