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국가전략기술에 ‘바이오의약품’ 추가 촉구
바이오경제 규모가 연간 최대 4조 달러(약 5349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바이오업계는 대한민국이 바이오강국을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경제학회 주최로 26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바이오경제 미래전략 포럼’에서 참가자들은 정부 차원의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날 임정수 맥킨지(McKinsey) 파트너는 향후 연간 2조~4조 달러의 바이오경제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 파트너는 “맥킨지에서 실질적인 경제적 효과를 산출할 수 있는 400여 개의 사용사례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며 “전통적인 의약업계에 국한할 게 아니라 농업, 소비자, 에너지 등으로의 확장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바이오 분야는 지속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것이 임 파트너의 주장이다. 그는 “수 세기동안 빵과 맥주를 만드는 데 쓰였던 발효를 통해 인공거미줄로 직물을 만드는 기술까지 개발됐다. 생분해성을 가지면서 탄소를 훨씬 적게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후변화 등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영양소가 풍부하고 맛을 향상시킨 식품을 만들 수도 있고, 실험실에서 재배한 고기로 식량 주권 문제 해소도 가능하다. 인류의 최대 도전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바이오산업 특성상 가질 수밖에 없는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임 파트너는 “엄청난 가능성을 가진 분야임에는 틀림없지만, 리스크도 있다”며 “생물학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인류 전체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윤리성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고, 범죄로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제대로 산업이 발전하면 이점이 많겠지만,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역할도 중요하다. 산업과 정부, 학계가 함께 힘을 합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이 범정부 차원에서 바이오경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는 만큼 한국도 총체적이고 균형적인 바이오경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최 연구위원은 “세계 경제질서가 개편되고, 미·중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바이오가 제일 중요한 화두가 됐다”며 “신종 질병이 발생하는 등에 따라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어마어마하게 늘고 있고, 수익도 다각화되고 있다. 한국의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해선 간접적 과학기술 정책과 경제 생태계를 활성화 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또한 정책을 연계하는 통합적 생태계가 운영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내 바이오업계들은 입을 모아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박용 삼성바이오로직스 센터장은 “바이오의약품이 연평균 10% 이상 성장할 것”이라며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의 공격적인 설비, 개발투자로 글로벌 시장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국이 바이오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백신’ 산업에 한정돼 있는 국가전략기술을 ‘바이오의약품’ 산업까지 확대해야 한다. 여타 도움이 없다면 큰 기업도 살아남기 어렵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가전략기술 시설투자 세액공제율 확대 등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보면, 국가전략기술에 반도체와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됐지만, 바이오산업 분야에서는 백신 분야만 포함됐다.
박 센터장은 “바이오산업은 지속적으로 비용구조가 올라간다. 이로 인해 국가 경쟁력도 떨어지는 추세”라며 “미국 내 여러 주지사,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관계자들이 직접 (한국에) 방문해 글로벌 투자 유치를 요청하고 있고, 투자에 따른 인센티브도 약속하고 있다. 이런 추세를 고려하더라도 국가전략기술에 바이오의약품 산업을 포함시켜 달라”고 주문했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건수 큐로셀 대표는 “합성의약품은 특허 만료에 대한 리스크를 지고 있다. 특허가 만료되면 제네릭이 출시되며 매출이 급감한다”며 “하지만 세포유전자치료제는 복제약 개발이 불가능에 가깝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된 CGT제품이 14개에 불과할 정도로 진입장벽이 높다. CGT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임상으로 많은 증명을 해야 한다. 제도와 인프라를 정비해 새로운 기술이 빠르게 임상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정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덕기 GS칼텍스 바이오실증팀장은 “화이트바이오산업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술과 시설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하다.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접근하기 어려운 산업”이라며 “원천기술 개발, 신규 효능 발굴 및 응용 분야 확대에 대한 지원이 있었으면 한다. 또한 바이오연료, 바이오 케미칼 제품에 대한 탄소 절감 효과 등에 대해 인정하고, 위해성 심사 등 절차 간소화, 인증지원 방안이 마련되면 바이오산업이 보다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