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외교정책 기조와 다른 발언으로 논란
‘표현의 자유’ 수호자 자칭하지만, 일부 국가 비판·요구 외면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머스크가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부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이르기까지 미국 내부를 질타하는 것과 달리 자신의 사업체가 진출한 지역과 국가 지도자들에게는 친화적인 접근법을 구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WSJ는 이를 일명 ‘머스크 독트린’이라고 칭했다.
‘머스크 독트린’은 중국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머스크는 지난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을 지배하기 위한 움직임을 실행할 것으로 보는지에 대해 “중국의 공식 정책은 대만이 통합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행간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답해 논란이 됐다. 이는 중국 정부가 좋아할 만한 발언으로 미국 외교정책과는 결이 다르다. 반면 같은 날 인터뷰에서는 기준금리를 낮추는 데 너무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며 연준 통화정책을 비판했다.
그의 중국 친화적 발언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10월에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대만이 홍콩, 마카오와 비슷하게 중국의 특별 행정구역이 되는 것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친강 미국 주재 중국 대사는 “평화에 대한 요구”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10월에는 “우크라이나 동부 일부 지역이 러시아를 더 선호한다”며 ‘친러 발언’을 해 뭇매를 맞기도 했다.
표현의 자유가 제한된 나라에서 트위터 이용자들의 불만을 무시하며 정부에 우호적인 뉘앙스를 풍기기도한다. 실제로 머스크는 이달 초 튀르키예 대선을 앞두고 일부 콘텐츠 접근을 제한해 이용자들의 비판이 제기되자 “트위터를 전체적으로 제한하거나 일부 트윗 접근을 제한하는 선택지가 있다. 어떤 것을 원하냐”고 반문했다. 인도에서도 표현의 자유 제한에 대한 비판이 일자 “처음 듣는다”면서 “테슬라와 스페이스X를 운영하면서 전 세계 트위터의 모든 측면을 하룻밤 사이에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맞받아쳤다.
터스크벤처스의 브래들리 터스크 설립자 겸 CEO는 “머스크는 미국에서 결과적으로 자신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서 하고 싶은 말은 다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법치주의가 그렇게 강하지 않은 국가에서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도 알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