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무위이치(無爲而治)/30-50클럽

입력 2023-05-22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빅토르 위고 명언

“큰 실수는 굵은 밧줄처럼 여러 겹의 섬유로 만들어진다.”

‘노트르담 드 파리’ ‘레 미제라블’을 쓴 프랑스 낭만파 시인, 소설가 겸 극작가다. 루이 나폴레옹(나폴레옹 3세)의 쿠데타로 제정(帝政)에 반대한 그는 19년간 망명 생활을 했다. 그는 죽은 후 국민적인 대시인으로 추앙돼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지고 판테온에 묻혔다. 그는 오늘 명을 달리했다. 1802~1885.

☆ 고사성어 / 무위이치(無爲而治)

인위적으로 뭔가 하려고 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잘 다스려짐을 뜻한다. 출전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공자(孔子)가 한 말이다. “인위적인 작위가 없이 나라를 다스린 사람이 순임금이다. 어떻게 했을까. 몸가짐을 공손히 하고 바르게 남쪽을 바라보고 있었을 뿐이다[無爲而治者 其舜也與 夫何爲哉 恭己正南面而已矣].” 순임금 자신이 도덕적 모범이 돼 사람들이 저절로 따르게 되어 요즘처럼 다스리기 위한 각종 법제를 정해 규제하지 않아도 저절로 다스려졌다는 것을 뜻한다.

☆ 시사상식 / 30-50클럽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조건을 갖춘 국가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한 국가가 높은 수준의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민경제 규모의 기준이 되는 1인당 국민소득과 함께 적정선의 인구경쟁력도 갖추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이 클럽에 가입된 국가는 일본(1992), 미국(1996), 영국(2004), 독일(2004), 프랑스(2004), 이탈리아(2005), 한국(2019) 등 7개국뿐이다.

☆ 우리말 유래 / 푸념

무당이 굿을 할 때 신의 뜻이라며 그 굿을 청한 사람에게 꾸지람을 해대는 말. 죽은 이의 혼령이 자신의 가슴에 맺힌 한을 늘어놓고 그것을 풀어달라던 무속 특수어가 일상에 쓰이며 마음에 품은 불평이나 생각을 늘어놓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다.

☆ 유머 / 진정한 기도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자 한 교회에서 ‘비가 오게 해달라’는 기도회를 열었다. 모두 모여 열심히 기도했다. 놀랍게도 기도회가 끝나자마자 비가 내렸다.

한 어린이만이 우산을 가져왔기에 목사가 “왜 너는 우산을 가져왔니?”라고 하자 그가 두 눈을 크게 뜨고 한 말.

“기도하면 이루어진다고 목사님이 그랬잖아요!”

채집/정리: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