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을 위해선 산·학·연·병을 모아주는 바이오클러스터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국내 바이오클러스터가 발전하기 위해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2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K-제약바이오포럼 2023’에서 정 원장은 “전 세계의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바이오헬스산업의 시장 규모와 수요가 커지고 있다”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진단 및 치료 솔루션 수요가 늘었고,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상승으로 인구총생산(GDP) 대비 의료비 지출도 증가세를 보인다. 한국 정부도 공공투자를 중심으로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바이오산업은 대표적 지식기반산업의 하나로, 학문적 기반과의 지리적 근접성이 중요하다. 또한, 바이오기술은 불확실성이 매우 크고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아 위기관리 측면이 중요한 만큼 연구단계의 기업 간 다양한 협력, 지식교환 및 혁신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보스턴, 스위스 바젤 등 다양한 나라에서 바이오클러스터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바이오클러스터는 발생유형을 기준으로 자생적 클러스터와 정부주도 클러스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일본, 중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권 국가는 주로 정부주도 클러스터에 해당하며, 미국 보스턴이 대표적인 자생적 클러스터다. 정부주도 클러스터는 재정이나 운영에 있어 계획 주체에 의한 강한 추진력이 발휘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사결정이 하향식(Top-down)으로 진행돼 참여 주체 간 논의와 협의가 배제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자생적 클러스터는 논의와 협의가 자유롭게 진행되나, 육성을 위한 재정지원 등에 한계를 보인다.
국내에는 인천 송도, 충북 오송, 대구·경북, 원주 등 총 18개의 바이오클러스터가 있다. 정 원장은 “바이오클러스터 간 특화전략이 필요하고, 연계할 방안을 찾아봐야 한다”며 “중앙정부의 각종 지원사업 다각화에 따른 정책 제도 개선을 통해 통일된 기획과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바이오클러스터 산업육성발전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범부처가 함께 움직여야 효율성이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성공한 바이오클러스터로 주목받고 있는 아일랜드나 벨기에, 성공 모델로 회자하고 있는 미국 보스턴과 샌디에이고, 싱가포르의 모델을 참고해 외국의 글로벌 기업과 바이오벤처 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 정책 및 제도 등을 글로벌 수준으로 만들어 바이오클러스터의 생태계 조성에 힘써야 한다. 정부가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바이오헬스산업을 꼽은 만큼 바이오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한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국내 혁신 바이오클러스터 성공 여부의 가장 큰 주안점은 내수용이 아니다. 글로벌 수준으로 봐야 한다”며 “정부 주도형으로 시작해 민간이 협력하는 민관합동 방식으로 나가야 한다. 대학, 연구소, 공기업 등 지역에 있는 주요 거점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고밀도 집약 공간인 강소특구를 지정해 정부의 역할과 민간이 합동하는 모델로의 발전 가능성도 고려해 볼 만 하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