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매년 수험생들의 학업 수준을 확인하고 수능 난이도 조절에 참고하고자 실시하는 6, 9월 모의평가의 중요성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수험생 역시 평가원의 시험 출제 의도와 방향과 본인의 학습 수준 등을 파악하여 수능을 대비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입시업체 진학사의 도움을 받아 6월 모평 향후 학습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오답분석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매번 듣지만 왜 중요한지, 어떻게 오답을 분석해야 하는지 모르는 수험생이 많다. 오답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근본적인 원인을 모르면 해결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많은 수험생이 틀린 이유로 꼽는 ‘실수’도 그 실수를 하게 된 이유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만약 계산을 틀렸다면 문제풀이 및 계산 과정을 꼼꼼하게 적는 연습을 통해 보완하는 학습을 해야 한다. 또 다른 예로 시간이 부족하여 급하게 문제를 푸느라 지문을 잘못 읽는 등의 실수가 발생하였다면 시간 부족이 문제이므로, 평소 문제 풀이를 할 때 시간을 정해 놓고 문제 푸는 연습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답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향후 학습 보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이때 오답 이유를 더욱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과목별 출제 단원이나 오답 문제 유형 등을 구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되도록 지난 3, 4월 혹은 그 이전의 모의고사도 같은 방법으로 오답을 분석하여 본인의 취약한 항목을 명확하게 파악하면 향후 학습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나, 시간이 부족하다면 3, 6월 시험만이라도 오답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오답 원인을 분석한 후에는 취약한 과목, 단원, 유형, 이유 등에 따른 대응 전략을 세우자.
오답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것들을 평소 학습 시 최우선으로 반영해야 한다. 만약 배운 내용을 잊어버려서 틀렸다면 복습 계획을 우선으로 하자. 그런데 이때 시간도 부족했다면 복습 문제 풀이 시 문제당 시간을 제한하여 풀이하는 연습을 병행하는 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특정 문제 유형을 틀리는 경우라면 유형별 공략을 알려주는 인터넷 강의를 듣거나 개념 복습 후 유형별 문제집을 푸는 것도 방법이다. 유독 자주 틀리는 단원이 있다면 해당 단원에 대한 개념 학습을 진행해야 한다.
이처럼 오답 원인에 따라 필요한 전체적인 학습 전략이 나왔다면 이를 바탕으로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분량 단위로 구체화해야 한다. 특정 단원 학습 보완을 위해서는 어떤 교재의 몇 페이지부터 몇 페이지까지를 개념 학습한 후 어떤 문제집을 활용하여 몇 문제를 풀 것인지, 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며칠의 시간이 필요한지 등을 매우 세부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더불어 이렇게 학습한 것을 잊지 않기 위해 주기적인 복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제풀이 등의 학습 분량도 설정하는 것이 좋다.
그다음은 목표 학습 기간 동안의 실천 계획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음 모의평가를 치르게 될 9월까지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해당 기간 동안 앞서 파악했던 학습 분량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이를 위해서는 남은 기간 동안 수행평가, 기말고사 준비 등의 기간을 제외하고 온전히 수능 대비 학습이 가능한 일정을 확보하고 학습 분량을 분할하여 계획을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단원 학습을 위해 3일이 필요하고, 특정 유형 학습을 위해서는 2일이 필요하다면, 단원 학습은 6월 셋째 주, 유형 학습은 기말고사 준비 전 주말에 분배하는 식으로 월, 주, 일, 시간대별로 큰 계획부터 세분화하는 것이 좋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계획을 시간이 아니라 분량 단위로 세워야 한다는 점이다. 시간 단위 계획은 졸거나 다른 생각을 하더라도 시간만 지나면 계획이 완료되지만, 분량 단위 계획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계획을 꾸준히 실천하고 실천 여부를 기록해야 한다. 그리고 9월 모평을 치른 후 지난 학습계획의 효과를 평가하여 효과적이라면 유지하고 그렇지 않다면 학습계획을 수정, 보완하여 더 효과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평가원에서 출제하는 6, 9월 모의고사는 수시 지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향후 학습 계획을 설정하고 실천하기 위한 학습 도구로서의 의미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순히 성적이 잘 나왔는지에 대한 반응보다는 아직 부족한 점이 무엇이고 이를 향후 어떻게 보완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