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주, 2분기 실적 호황 전망에도 단통법 개정·통신비 부담에 주가는↓

입력 2023-06-19 15: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시스)

KT·LG유플러스·SK텔레콤 등 국내 통신 3사 주가가 이달 들어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 실적 개선 전망에도 불구하고 단말기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개정 논의와 가계통신비 부담 여론, 정부의 제4 이동통신 사업자 추진 등이 투자심리를 약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9일 오후 2시 5분 기준 이달 들어 코스피 통신업 지수는 4.03% 하락했다. 이 기간 KT는 3.17%, LG유플러스는 3.83% 내렸고, SK텔레콤은 5.33% 떨어졌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이 순매도해 지분을 줄였고, 개인이 순매수세를 보였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16일까지 KT와 LG유플러스, SK텔레콤을 각각 425억 원, 152억 원, 832억 원씩 순매도했고, 개인은 각각 357억 원, 192억 원, 974억 원 순매수했다.

이러한 통신주 약세는 △단통법 개정 논의 △가계통신비 부담에 따른 요금 인하 압박 △제4 이동통신 사업자 추진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 태스크포스(TF)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말 단통법 개정이 포함된 가계 통신비 절감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국은 방송통신위원회가 2021년 국회에 제출한 단통법 개정안 통과에 주력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개정안은 대리점 또는 판매점이 이동통신 사업자가 공시한 지원금의 15% 안에서만 추가 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게 한 것을 30%로 확대할 수 있게 한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단통법 개정 혹은 폐지가 통신사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통해서라도 선택약정요금할인 제도가 존치될 가능성이 크고, 25%에 달하는 선택약정요금할인 폭 이상 보조금 살포에 나설 만큼 공격적인 통신사들이 나타나기 쉽지 않다”면서도 “주가 측면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번호이동 입자 증가에 따른 단말기 교체 가입자 수 증가, 대형 유통상 부활로 리베이트 상승 우려가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가계통신비 부담에 따른 요금 인하 압박도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가구당 월평균 통신비 지출은 13만285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분기 12만1676원보다 7.1% 늘어난 금액이다. 1분기 기준 가계통신비 지출은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김홍식 연구원은 “통신요금 통계가 요금 인하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 핵심은 명목 가계통신비가 아닌 소비지출 대비 가계통신비 비중으로, 이는 지난해까지 지속적인 하락 추세”라며 “규제 당국이 단순히 명목 통신비 증가로 기존 통신사에 요금 인하 정책을 펼 가능성은 작다. 다만, 통신사가 적극적인 네트워크 투자에 나서지 않는다면 규제 당국의 요금 압박은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정부의 제4 이동통신사업자 추진도 투자심리 악화에 이바지했다. 정부는 올해 초 제4 이동통신사업자를 새로 선정하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달 말 주파수 할당 공고를 내고 제4 이통사업자 모집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다만, 자금 사정과 수익성 확보, 네트워크 장애 우려 등으로 신규 사업에 나서겠다고 공표한 기업이 없어 선정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이는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가 흐름과 달리 2분기 통신 3사 실적에 대한 기대감은 높다. 하나증권은 통신 3사 합산 기준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 본사 영업이익 기준으로는 12% 성장할 것으로 전망 중이다.

다만 김홍식 연구원은 “5.5G 도입 논의 지연으로 내년 이후 장기 성장성에 의문이 커지는 가운데 규제 상황도 뚜렷한 개선 양상이 아니다”라며 “단기 상승은 가능하나 상승폭이 크진 않을 것이며 내년 하반기에나 통신주의 탄력적 반등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