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시장 점유율 現 1.8%→10% 확대·핵심인력 384→2500명 양성
정부가 2035년까지 양자경제 중심 국가 도약을 위해 민관과 함께 약 3조 원을 투자한다. 양자핵심 인력은 현재 대비 7배 수준인 2500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여기에 양자기술을 공급하고 활용하는 기업도 1200개까지 늘려 2035년까지 양자산업 세계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7일 서울 동대문 디자인플라자(DDP)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양자과학기술·산업의 대도약(퀀텀점프)을 위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이종호 장관은 “2035년경 양자경제가 열리는 시점에서 우리나라가 선도국의 위치에 도약하기 위해 산·학·연·관이 손을 맞잡고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며 “양자융합인재 양성, 임무지향형 연구개발, 양자산업기반 마련 등 핵심과제들을 꼼꼼히 챙겨 대한민국이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국가로 대도약하기 위해 기반을 튼튼히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전략은 지난 1월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양자 석학과의 대화 내용을 반영했다.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종합 발전전략을 담은 첫 국가전략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퀀텀 전문가, 법률·회계·비즈니스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개발하고 성과를 공유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물리 공간인 퀀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리 기술로 양자컴퓨터를 개발·활용하고 도시 간 양자인터넷, 최고 수준 양자센서를 개발하는 등 2035년까지 양자 기술 수준을 선도국 대비 8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글로벌 양자 시장에서 현재 1.8%에 불과한 한국의 점유율을 10%로 높여 세계 4위 수준에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현재 62% 수준인 한국 양자과학기술 수준을 2035년까지 최고 선도국가 대비 85%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의 전략은 선도국에 비해 뒤쳐진 기술수준을 신속히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로드맵에 따라 임무와 기한을 명확히 하는 ‘임무지향적 연구개발’을 본격 추진하는 것이다.
2030년대 초 1000큐비트급 초전도 기반 범용 양자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자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다양한 양자컴퓨터 방식(이온포획, 광자, 반도체 스핀, 고체점결함 등)에 대한 도전적 연구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효율적 컴퓨팅 자원 구축을 위해 고전-양자 컴퓨터 연계(하이브리드) 방식에 대한 기술개발과 양자 알고리즘과 양자 소프트웨어 개발도 확대 지원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5년까지 2조4000억 원을 투입하고, 민간에서도 2027년까지 60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총 3조 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목표다. 양자분야 핵심인력도 현재 384명에서 2035년까지 2500명 수준으로 양성한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연구자의 해외 선도 연구기관에 파견하고 주요 권역별 양자과학기술협력센터 설치(미국, EU 등)를 통해 글로벌 인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양자종합계획, 양자 연구·산업 허브 구축, 전주기 인력양성, 연구성과의 사업화, 국제협력 활성화 등 종합 지원을 위한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도 추진한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양자분야 산학연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도 이뤄졌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석·박사 및 산업 종사자가 글로벌 양자기업으로부터 교육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IBM, 아이온큐와 양자 전문인력 양성 MOU를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