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구이동·주택거래량 감소 영향…"베이비붐 세대 은퇴하면 흐름 유지될 것"
꾸준히 증가하던 귀농·귀촌 인구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일상회복에 따른 관심도 하락과 고용 회복 분위기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베이비붐 세대 등 은퇴자가 늘어나면 다시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3만8012명으로 전년 51만5434명에서 15.05%가 감소했다. 가구 수로는 33만1180가구로 전년 37만7747가구에서 12.3%가 줄었다.
귀농·귀촌 인구는 2019년 45만5968명, 2020년 48만9692명에 이어 2021년에는 50만 명을 넘어서며 3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도시의 경기 침체에 상대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 생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귀농·귀촌 인구가 많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코로나19 일상회복 단계에 접어들면서 이 같은 귀농·귀촌 인구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일상회복에 따른 도시의 고용 회복 분위기도 청년층의 유입을 막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30대 이하 귀농가구는 5.0% 증가했으나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22.3%나 감소했다.
지난해 귀농인 평균 연령은 56.4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고, 40대 이하 귀농인 비중은 2019년 25.7%에서 지난해 21.8%로 낮아졌다. 귀촌인에서 40대 이하의 비중도 같은 기간 66.1%에서 60.9%까지 내려왔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과 주택거래량 감소 등도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 대비 14.7% 감소하고 48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주택거래량도 49.9%가 줄었다.
다만 고령화와 귀농·귀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여파 등으로 인해 귀농·귀촌 인구가 2년 연속 증가한 후 지난해에 서비스업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경기가 회복되면서 하향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농촌 생활 경험을 가진 베이비붐 세 등 은퇴 연령층 증가와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견고하게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을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해 10월 '제1차(2023~2027년)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청년층의 농촌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영농정착지원사업 대상과 지원 금액을 대폭 상향했다.
아울러 농촌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6만6000채에 달하는 농촌 빈집을 2027년까지 절반으로 줄이고, 빈집을 개보수해 귀농·귀촌인 임대주택 등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