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5%·내년 2.4% 유지
한국은행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4%로 유지했다. 내년 전망치는 중국 경제 부진 우려 등으로 소폭 하향 조정한 2.2%를 제시했다. 우리 경제 반등 폭이 애초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입장을 유지, 올해 3% 중반에서 내년 2% 초중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24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1.4%를 제시했다. 이는 지난 5월 경제전망 당시와 같은 수치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2월(2.5%) 이후 5월(2.4%), 8월(2.1%), 11월(1.7%), 올해 2월(1.6%), 5월(1.4%) 등 다섯차례에 걸쳐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다가 이번에는 유지했다.
이 총재는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한 데 대해 "국내 펜트업 소비 약화, 중국경제의 더딘 회복세, 미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 등 하방요인과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입, 미국경제의 연착륙 가능성 증대 등 상방요인을 함께 고려한 결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불확실성이 다음 통방 때까지는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때 가서 국내외 경제상황에 대해 보다 정확히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부동산 시장을 볼 때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은 어려울 가능성이 커졌고, 이것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한은의 올해 경제 전망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4.1% 증가한 민간소비는 올해 2.0%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5월(2.3%) 전망치와 비교하면 0.3%p 내려갔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0.9%에서 올해 -3.0%로 부진이 확대되지만, 건설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2.8%에서 올해 0.7%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재화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0.7%로, 재화수입 증가율은 4.3%에서 -0.8%로 각각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의 올해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 전망치는 각각 3.5%와 3.4%가 제시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 5월 전망 당시와 같지만 근원물가 전망치는 0.1%p 상향조정됐다.
올해 취업자수 증가폭은 29만명으로 5월 전망수준(25만명)을 상회하겠지만 여전히 작년(82만명) 대비 급감하고, 실업률은 지난해와 같은 2.9%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298억달러에서 올해 270억달러로 줄었다가 내년 460억달러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됐다.
5월에 전망한 240억달러, 450억달러와 비교하면 각각 30억달러와 10억달러 증가했다.
한은은 이날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5월 당시의 2.3%에서 0.1%p 하향 조정한 2.2%를 제시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에는 2024년 우리 경제가 2.3%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올해 2월 2.4%로 소폭 높여 잡았다.
그러나 5월 2.3%로 낮춘 뒤 이달 2.2%로 두 차례 연속 하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 반등 폭이 이전 전망에 비해 약해지면서 잠재성장률 수준인 2% 유지가 위협이 되는 선까지 내려왔다.
이 총재는 "중국 성장세 둔화 등을 반영해 내년 성장률을 2.3%에서 2.2%로 소폭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의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4%로 5월 전망치와 같았다.
한은은 우리 경제가 올해 1.4%, 내년 2.2% 성장하는 기본 전망 외에 향후 주요국 경기흐름, 원자재가격 추이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점을 고려, 대안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미국 등 주요국 경제가 양호한 성장 흐름을 지속하면서 정보기술(IT) 경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올해 성장률은 1.5%, 내년은 2.4%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중국 부동산 부진 지속으로 성장세가 추가 약화되는 경우'에는 올해 1.2∼1.3% 성장에 이어 내년에도 1.9∼2.0%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지정학 리스크, 이상기후 등으로 원자재가격이 추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올해 성장률이 1.3%, 내년 성장률은 2.1%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국내 경제는 지난 5월 전망에 대체로 부합하는 성장과 물가 흐름을 보였으나 하반기 들어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된 상황"이라며 "향후에는 팬데믹, 전쟁 등 그간 글로벌 경제를 주도했던 주요 동인 영향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경제의 내적 동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