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중국 경제와 증시에 대한 불신이 잠재해 있다. 중국 경제는 정말 위험한가? 시장에서 우려하는 핵심 요인으로서 가계 체력 회복 가능성, 비구이위안발 부동산 리스크 확산 가능성, 디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을 점검해 보자.
먼저 중국 가계 체력이 크게 약화됐다. 중국식 제로 코로나 정책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소득이 감소하고, 고용이 악화됐다. 다른 나라처럼 경기 방어를 위해 대규모 코로나 지원금을 지급하지도 않았다. 특히 자영업자들의 사업 소득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올해 들어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다만, 청년 실업률과 달리 전체 실업률은 당국 목표인 5.5% 아래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임금 등 노동 소득의 회복세가 견조한 편이어서 향후 가계 소비 여력이 완만하게 개선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중국 대형 부동산 디벨로퍼 중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알려졌던 비구이위안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줬고, 외국인 자금이 중국 증시에서 빠져나가고 있다. 비구이위안은 자산 처분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안을 발표했다. 비구이위안이 외채가 많고, 중소도시 매출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 잡음이 지속되겠지만, 비구이위안의 파산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중국 경제 구조의 특성상 국유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헝다와 비구이위안 등 일련의 부동산 리스크의 본질은 공급 측면에서 디벨로퍼에 대한 유동성 규제에 있다. 중국 당국은 투자 주도 성장모델에서 소비 주도 성장모델을 통해 부동산 체질을 바꾸고자 하고, 투기성 자본 유입을 꺼린다.
과거 부동산은 지방정부가 토지매각 비용으로 세수의 40%를 충당한 구조적인 이유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왔다. 이 때문에 중국 부동산은 둔화 사이클에서도 대마불사라는 논리로 정책 지원을 받아 왔다. 최근 당국은 부동산에 대한 규제를 다시 완화하고 있다. 당국의 정책 의지에 따라 부동산 산업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당국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수준까지 유동성 규제를 강화하지는 않을 것이다.
구조적으로 일본식 장기 불황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고,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이다.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3% 감소하기도 했다. 중국의 고령화 속도도 심각하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5%로 늘어났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소비 주도 경제성장 모델로 나아가기 위해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동산 취득과 취학, 성(省) 간 이동 등을 제한하는 후커우 제도를 완화하고 있다. 산업 구조에서도 무게 중심이 3차 산업으로 확연하게 이동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과거처럼 대규모 부양책을 실행할 여력은 제한적이다. 인구구조, 산업 포트폴리오 등 장기 불황의 잠재적 원인을 명확하게 진단하고, 내년 경기 회복 국면에 적절한 재정정책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보면,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게 증폭된 측면도 있어 보인다. 우리가 과거 중국의 고속 경제 성장 시대의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위기론 속에서도 중국 경제성장률은 여전히 글로벌 평균 성장률을 상회하고 있다.
중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은 매력적인 수준이다. 경기 모멘텀도 저점을 지나고 있고 회복 가능성에 무게를 둘 필요가 있어 보인다.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된다면 IT 소비, 플랫폼 업종의 투자 매력이 클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