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기후재난,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인가

입력 2023-08-29 06:00수정 2023-09-05 15: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동선 사회경제부장
최근 국내에 번역 출판된 그레타 툰베리의 ‘기후책’은 그 표지부터 지구 온난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영국 레딩대학교 기상학 교수인 에드 호킨스가 고안했다는 ‘가열화 줄무늬’를 그대로 차용했다. 뒤표지 맨 왼쪽부터 앞표지 맨 오른쪽까지 가느다란 세로줄로 1638년부터 2021년까지의 지구 온도 변화를 단순하게 표현한 것이다. 파란색 줄은 상대적으로 추운 해를, 빨간색 줄은 상대적으로 더운 해를 나타내는데 앞표지 맨 오른쪽인 최근 수십 년 구간은 온통 검붉은색으로 도배되다시피 한다.

대기 온도가 상승할수록 대기가 수증기를 더 많이 품기 때문에 폭우가 더 자주, 더 강해진다. 또 지구 온도가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폭염도 더 심해진다. 계절과 절기가 달라지고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높아지는 기후변화는 ‘극한 기상 현상’으로 이어진다. 여름(이제 여름이라 해야 할지조차 난감하지만)의 끝자락까지 우리는 극한 기후를 몸으로 겪었다.

폭염이 아니면 폭우가 시차를 두고 반복하고 국지적으로도 찜통더위와 호우가 교차하는 이상기후가 일상화된 지 오래다. 전 세계적으로도 마찬가지다. 평소 섭씨 40도에 육박하는 뜨거운 사막 미국 데스밸리는 지난주 하루에만 559㎜에 달하는 폭우가 쏟아져 역사상 최대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이 569㎜라는 점을 고려하면 하루에 1년치 비가 내린 것이다.

기상학자, 기후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기후변화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현상이라고 단언한다. 폭염 일수가 길어지면 온열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기저질환이 악화할 경우 사망자도 덩달아 늘어날 수 있다. 기상청은 “폭염과 고온 현상이 21세기 중반 그 강도와 빈도가 더 증가할 것”이라며 “심장병 환자의 경우 섭씨 36도에서 1도 증가할 때마다 사망률이 28.4% 증가하고, 열지수 37도 이상에서는 사망자가 급증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 추세대로 이어질 경우, 여름철 우리나라의 평균 총 사망자 수는 2010년 대비 2100년에 32.4%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올해 폭염 대책기간이 시작된 지난 5월 20일부터 지금까지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수는 31명에 달한다. 지난해(7명)보다 4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장마철 폭우로 인한 산사태와 침수사고 사망자도 40명이 넘었다. 생명을 앗아가는 기후변화가 현실이 된 셈이다.

극단적인 기후는 인간의 성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불볕더위에 불쾌지수가 올라가면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나는 것은 일반적으로 추론해볼 수 있는데 여러 논문과 보고서는 이 같은 추론을 입증하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최근 논문에서 “기온이 1도 상승할 때 인구 10만명당 폭력·살인 범죄가 약 32건 증가한다”고 보고했다. 최근 국내에서 흉기난동과 살인예고 등 일탈성 범죄가 성행하는 것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무자비하게 내리쬐는 태양에 압박감을 느껴 이성을 잃고 총을 쏜 ‘이방인’의 뫼르소는 더이상 소설 속 주인공만이 아닐 수 있다는 얘기다. 악몽 같은 여름이 가고 있지만 기후재난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선선한 바람이 분다고 폭염을, 맑은 날이라고 폭우를, 온화해졌다고 한파를 잊어서는 안 되겠다.

마침 이번주 인천 송도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이 열리고 있다. 기후위기가 심화한 상황에 맞춰 국제사회의 논의를 한 단계 더 진전시켜 오는 11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리는 제28차 당사국총회(COP28)에서 공유할 예정이다. 모쪼록 이번 논의가 실질적인 실천 대안을 마련하길 기대하면서 ‘인터스텔라’식 주문을 외어 본다.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 하지만 이 주문은 이제 당위형이어야 한다. “우리는 반드시 답을 찾아야 한다. 바로 지금, 여기서.” 그간 우리는 우리의 터전인 지구를 무던히도 괴롭혀오지 않았나.

김동선 사회경제부장 matthew@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