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황 관계없이 연구개발에 지속적 투자
‘R&BD’ 구조 구축으로 경쟁사와 차별화
“연구의 연속적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
SK이노베이션이 정유회사에서 시작해 종합에너지를 넘어 글로벌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최고 경영층의 리더십이 이끈 연구개발(R&D) 경영이 주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서울 SK서린빌딩 수팩스홀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R&D 경영 40주년 성과 분석 심포지움’에서 기업경영 전문가인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와 송재용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가 SK이노베이션의 40년 R&D 경영을 공동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이지환 교수는 타 경쟁업체 대비 SK이노베이션의 가장 큰 경쟁력으로 40년간 이어져 온 장기간의 연구개발이 큰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SK이노베이션이 정유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한 다양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화학, 바이오 및 윤활기유, 분리막, 배터리 등 현재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핵심 사업을 개발하고 사업화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고, 이를 기반으로 독립경영까지 가능하게 되었다며, 이 같은 연구개발은 SK이노베이션만의 독특한 R&D 경영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이 같은 경쟁력이 SK이노베이션이 미래형 그린에너지와 소재 기업으로 대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었다며, 현재 강력하게 추진중인 ‘올 타임 넷제로’ 방향의 파이낸셜 스토리 완성은 물론 미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교수는 SK이노베이션 R&D를 분석한 결과 △제품 품질, 원가 경쟁력 강화 △공정개선 및 최적화 △촉매·합성·분석 등의 공통역량 축적 등에서 뛰어날 뿐 아니라, 사업개발(Business Development)을 주력으로 하는 연구사업개발(R&BD) 구조를 구축한 점이 차별적 우위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개발 구조를 통해 만들어진 배터리, 분리막, 윤활기유, 넥슬렌, 신약개발(지금의 바이오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업들로, 현재 SK이노베이션과 SK그룹의 중요한 기업가치를 담당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이 교수는 SK이노베이션의 R&BD 경영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로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연구개발을 이끌어가는 강력한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했다고 말했다. 최종현 SK이노베이션(당시 유공) 선대 회장의 기술 중시 철학이 40년을 이어진 연구개발 경영의 주춧돌이 됐다고 평가했다.
최 선대 회장은 1981년 유공 인수 후 “3년 내 성과를 입증하지 못하면 경영권을 반납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자원 안보와 기술 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이후 1982년에 종합에너지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1983년엔 기술개발연구소를 설립했다.
이어 교수들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연구개발은 미래의 희망이며, 기술도약 없이는 사업의 도약은 불가능하다”며 “석유 에너지에서는 못했지만, 그린 에너지에서는 글로벌 톱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연구개발 경영의 중요성을 지속 강조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SK이노베이션과 타 정유업체들과의 차이점으로 장기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꼽았다.
이 교수는 “연구개발은 리스크가 있는 영역이고 단순히 돈을 많이 쓴다고 성과가 빨리 나온다는 보장이 없어 기업들이 소홀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며 “반면 SK이노베이션은 경영층의 연구개발에 대한 의지가 커 회사의 경제적 상황이 악화했던 시기에도 연구의 연속성을 유지한 것이 현재의 기술 개발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마무리 발언을 통해 “SK이노베이션은 새로운 아이덴티티인 그린에너지 관련 혁신 완성을 위한 핵심 실행 방안으로 R&BD 경영 강화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를 실질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 조직 운영 시스템, 문화 혁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