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주차 제대로 했는데요. 왜 견인됐는지 모르겠네요”
최근 주차구역에 공유 전동킥보드를 반납하면서 올바르게 주차했는데도 견인된 이용자의 불만이다. 반납 때 찍어둔 사진을 토대로 운영업체는 비용 청구를 하지 않고 자체 부담하기로 했다.
복잡하게 꼬이고 꽉 막힌 서울 도심에서 공유 전동킥보드가 편리한 이동수단의 하나로 자리 잡으면서 관련 산업도 날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여기저기 널브러진 전동킥보드 주차 문제를 둘러싼 불만도 커지는 상황이다. 개인형 이동장치(PM) 업체들은 주차구역 마련, 올바른 주차 문화 확산 등 자정을 위해 안간힘을 쓰는 중이다. 불편 신고가 접수되면 기기를 옮겨 재배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 틈을 타 수상한 움직임을 보이는 견인업체들도 나타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서울의 한 견인업체는 7월께 한 자치구 내에 운영 중인 대부분 PM 업체에 연락을 돌렸다.
PM 업체 측에서 하도급 업무를 받으면 견인하지 않겠다며 견인업체 직원들을 도급계약식으로 채용해 인건비를 달라는 것이 골자다. 이를 거절하자 해당 지역의 견인 건수가 대폭 늘었다는 것이다.
보복성 견인이라는 의심의 배경에는 7월에는 장마로 전월 대비 이용 수는 15%가량 빠졌지만, 견인 수는 135% 증가했다는 점이 자리했다. 8월 들어서는 6월 대비 견인 수가 4배 가까이 폭증했다는 것이 PM 업체들의 주장이다.
특히 8월 초에는 신이문구청역 1번 출구 PM 전용 주차구역에서 하루 20대의 기기가 견인됐다. 범칙금과 보관료를 합쳐 100만 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됐다. 문제는 견인 당한 이용자들의 ‘사진 불일치’ 이의제기가 쏟아졌다는 것이다.
해당 구역은 PM 전용 주차구역이 도로 내에 그려져 있어 이를 벗어나면 즉시 견인 대상에 해당한다. 다만 인근 인도 위에 있는 기기들은 즉시 견인 대상이 아니다. 그런데 이용자들이 인도 위에 반납한 기기도 어느새 전용 주차구역 라인 밖으로 내려진 뒤 견인됐다. 주차선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난 기기들도 무차별 견인됐다.
지금은 PM 문화가 성숙해 가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올바른 이용 문화를 확산 중인 이용자들과 주차 공간·재배치 방안 마련에 애쓰는 PM 업체들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비양심적인 행태는 사라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