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자] 달력은 나를 규정하지 못한다

입력 2023-10-12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빨간날’은 많은 직장인이 고대하는 날이다. 달력에 공휴일을 표기하는 것이 빨간색이라는 것이 어느덧 보편화돼 해마다 달력을 보며 빨간날 숫자를 세는 게 직장인의 즐거움 중 하나가 됐다. 이제는 공무원의 휴일로 시작된 공휴일이 확장되어 일반 직장인의 유급 휴일과 합쳐지기도 하고, 최근에는 오히려 공무원들이 5월 1일 근로자의 날 혜택을 받지 못하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는 시대가 되었다.

공휴일의 역사는 길어서 조선왕조실록에도 성균관 학사들이 월 2회는 돌아가며 쉬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시장경제 발달과 근로자 복지가 좀 더 일찍 시작된 서구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더 잘 보장된 편이기도 하다. 미국은 공휴일을 아예 월요일 또는 금요일로 지정해서 주말과 겹치지 않도록 하기도 한 것이 눈에 띈다.

세대·직업 따라 공휴일 활용 제각각

그런데 이 공휴일의 활용이 사람에 따라 상대적이라는 것이 흥미롭다. 명절에 따라 이동하고 차례 지내는 삶이 보편적이었던 50대 이상의 세대가 있는가 하면, 이들이 무색하게도 지난 추석기간 해외로 출국한 사람이 100만 명 이상이라고 하니 그들에게는 빨간날의 의미가 달랐을 것이다.

창업을 좀 일찍 시작한 필자는 달력 색이 큰 의미가 없었다. 당면한 과제를 풀어야 했기 때문이다. 그냥 다 까만색이었다. 그러다보니 제대로 쉬는 법을 몰라 아이들이 태어난 후로도 스스로를 돌아보기까지 오래 걸렸다. 스타트업 창업자들이라면 아마 쉬는 게 뭔지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자 알게 되었다. 필자는 그동안 10년이 훨씬 넘는 기간 동안 연간 52번의 일요일, 토요일과 최소 15일 이상의 공휴일을 합하면 약 130일의 시간을 추가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게 된 것이다. 3년만 해도 1년 이상의 시간이 보너스로 제공되니 필자처럼 둔한 사람이라도 경험과 실력이 더 빨리 늘 수밖에 없었다.

여행,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는 것, 수다떨기는 행복과학 이론에서 추천하는 행복 요소들이다. 공휴일을 이렇게 채운다면 이것은 아마 삶에 행복을 채워줄 것이다. 반면 업무에 집중하고 문제를 해결하면 그것은 성과와 학습곡선을 더 올려줄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시야와 가치가 이를 바탕으로 커질 것이다.

과거 효율만 중요하게 생각하던 시절에 후자만 추천하던 필자는 둘 다의 즐거움을 모두 알게 된 요즘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게 되었다.

“어느쪽을 선택하든 좋다. 다만 달력색에 따라 끌려다니는 삶이 아니라 우리가 선택해서 했으면 한다. 남들이 쉬라고 할 때 쉬고, 일하라고 할 때 일하는 것은 AI에 밀려날 전형적인 수동적인 삶일 뿐이다. 행복이 채워질 리 없다. 시간을 지배하는 삶을 사는 사람은 여행도 미리 계획하며 마음속 여행의 시작을 당긴다. 예산도 절감되고 스트레스도 이겨내는 원동력이 된다. 물론 젊은날 몰입해서 성취에 집중한다면 그것도 좋다. 복리의 마법이 갈수록 더 큰 성장을 보답으로 돌려줄 것이다.”

수동적 삶이 아닌 선택하는 삶 돼야

산업사회처럼 ‘월화수목금금금’ 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밸런스있는 삶도 좋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행복한 순간이 쌓여 인생을 더 가치있게 만들어줄 것이다. 그러나 때로는 미친듯이 빠져보는 것도 좋다. 한 번뿐인 삶을 조각할 원동력이 되어 줄 것이다.

달력의 빨간색이 내 시간을 정해버리는 수동적인 삶이 아니라, 마음속 뜨거운 불꽃으로 시간을 지배해보자. 더 이상 빨간날이 우리를 조종하는 게 아닌, 우리가 시간의 주인이 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