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로] 다시 사막을 건너는, 중견기업의 꿈

입력 2023-11-06 05:00수정 2023-11-27 15: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식민의 상흔을 슬픔으로 덧씌운, 전쟁의 폐허는 절망이었다. 1953년 1인당 국민총소득은 66달러, 아프리카 가나의 절반에도 닿지 못했다. 내놓을 거라고는 광물과 오징어 따위뿐인 나라, 1961년의 수출 규모는 4100만 달러에 불과했다. 3억 달러를 돌파한 건 1967년인데, 한국개발연구원(KDI)를 방문했을 때 우연히 알게 됐다. 그 해에 태어난 나는 전시물 앞에서 웃지 못하고 자꾸 목이 멨다. 2022년 우리나라의 수출 규모는 6444억 달러, 세계 6위다.

쉽게 얼굴 빨개지던 소년은 자라서 어른이 됐고, 공직에 들어갔다. 통상협력을 담당하던 시절에는 8개월 동안 여섯 번의 정상 순방을 수행했다. 말로만 듣던, 가발 보따리를 들고 뛰어다니던 나날은 떠올리기조차 어려웠다. 제조업과 건설, 원전, 과학, 에너지, 특허, 방산, 문화 등 경제 협력의 다양한 아젠다는 당당하고, 상호적이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굴지의 기업인들이 곁을 지켜줬다.

10월 윤석열 대통령의 중동 국빈 방문에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동행했다. 128개 기업 중 중견기업은 24개였다. 올해 다섯 번의 대통령 순방 경제사절단의 평균 5분의 1정도가 중견기업이었는데, 세계 일등만을 꼽기에 열손가락이 부족하다.

중견기업은 5480개로 전체 기업의 1.4%에 불과하지만, 이른바 수출의 ‘견인차’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중견기업의 수출액은 1109억 달러로 총 수출액의 17.3%를 차지한다. 전체 중견기업의 36.8%, 제조 중견기업의 73.6%가 중심에 섰다. 해외 현지법인은 2680여 개, 지역과 국가를 막론한 수출 교두보를 구축하고 있다. 

팬데믹의 터널을 지나자 전보다 훨씬 넓은 교류의 물꼬가 트였다. 중견기업을 만나러 온 해외 방문단도 눈에 띄게 늘었다. 조지아 정부, 중국 옌타이시, 지린성, 미국 텍사스주 윌리엄슨 카운티, 인도 등 여러 나라의 지방 정부가 올해 중견련을 방문했다. 성장 파트너로서 중견기업의 위상과 가치에 대한 이해도는 놀랄 만한 수준이었다. 한결같이 모든 업종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대한민국 중견기업과의 협력이 간절하다고 말했다.

물론 기다리기만 할 일은 아니다. 5월에는 ‘미국 주 정부별 투자 진출 세미나’를 개최하고, 조지아, 애리조나 등 미국의 열한 개 주와 우수 중견기업의 협력 공간을 열었다. 중견기업의 수요에 기반해 마련한 두 차례의 ‘통상 현안 설명회’에서는 미국의 IRA, EU의 CBAM 등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규범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인도, 중동 진출 전략을 논의했다.

8월에는 카를로스 페냐피엘 소토 주한멕시코대사, 10월에는 필 머피 미국 뉴저지 주지사를 만나 현지 비즈니스 애로를 전달하고,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11월 15일 산업부와 공동 개최할 ‘중견기업 국제협력 Meet-up day’에서는 주한 외국공관, 각국 투자청과 중견기업이 협력 확대를 위해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지난 달 유명희 전 통상교섭본부장이 특별 강사로 중견련 워크숍을 찾았다. 세계 최고의 전문성과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짚어낸 대내외 환경 변화, 정부와 민간의 전략, 성과와 한계, 도전과 극복 과제는 현실적이고 엄밀했다. 강의 말미에 오랜 친구인 그가 “기회란 준비된 이에게 깃드는 ‘운(luck)’인지도 모른다”고 말할 때, 우리 경제와 기업의 70년 간난신고(艱難辛苦)가 머리를 스쳤다. 나서지 않고 점점이 빛나는 수많은 중견기업의 역사이기도 하다.

중동 경제사절단의 귀국 항로를 따라 낭보가 이어진다. CTR, 태경그룹, 비에이치아이 등 유수의 중견기업이 사우디 정부, 현지 기업들과 공장 건립 등 투자, 교류, 협력 MOU를 체결했다. 친환경 자동차에서 순환경제, 발전설비까지 분야도 다양하다. 중견기업만으로 구성된 경제사절단은 언젠가의 꿈이 아닌 엄연한 현재다.

올해 3월 상시법으로 전환된 중견기업 특별법 제1조는 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훅 다가와 뜨겁게 일렁이는 붉은 사막은 결코 종착점이 아니다. 또 다른 오아시스를 향해, 대양을 넘어 마침내 세상을 온통 이어내는 일에 힘을 모아야 한다. 선배들이 그랬고, 이제 우리 차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