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년 새해에도 건설업의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다. 주택시장이 침체한 가운데 높아진 공사비 부담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데다 총선,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변수도 여느 때보다 많기 때문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는 올해 국내 건설업계의 실적이 지난해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택·분양 경기 침체로 수주, 착공, 인허가 물량이 모두 줄었을 뿐 아니라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높아진 원가 부담도 지속된다는 게 주요 근거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누적 기준 주택매매거래는 51만7018건으로 최근 5년 평균과 비교해 36.5% 줄었다. 같은 기간 주택 인허가 물량은 29만4471가구로 전년보다 37%가량 축소됐다. 착공물량은 2022년 35만8098가구에서 작년 17만378가구로 반토막났다.
김현 한기평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신규 수주 축소 등을 고려하면 올해 하반기부터 매출 감소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외형 축소에 따른 현금흐름 저하, 과거보다 저조한 분양성과로 인한 운전자본부담 확대, 높은 금융 비용 등으로 재무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PF 우발채무 리스크도 건설업의 부담 요인이다. 전지훈 한신평 연구위원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은 과거보다 증가한 PF 우발채무와 유동성 대응 부담으로 사업·재무구조 개선이 필요한 건설사들이 정부 또는 금융권 주도의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금융시장 내에서 건설·부동산 PF 관련 업종에 대한 기피 현상이 심화돼 건설사들이 신규자금 조달은 물론 기존 차입금 또는 PF 유동화 증권 차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총선과 같은 굵직한 정치 이벤트도 변수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4월 우리나라 총선, 11월 미국 대선 등 국내외적으로 국가 경제에 미칠 선거가 한 해 동안 핵심적인 이슈가 될 것"이라며 "총선은 지역 인프라에 대한 관심 확대, 지역 투자에 대한 기대감 등 긍정적인 측면의 평가가 가능하지만,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으로 경제 회복 정책 차별화가 쉽지 않고 부동산 경기 침체 가능성이 여전한 가운데 정부의 재정투자 여력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영향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내부적으로는 건설공사 품질 강화 이슈,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확대에 따른 논쟁 가속, 신기술·신사업 확산 등을 주요 이슈로 봤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작년 하반기 이후 건설 경기가 급속히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외적 불확실성이 높고 내적으로 생산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 저하 등 위기 징후가 높아지고 있다"며 "부동산 PF 연착륙과 단기적인 자금시장 경색 관련 추가 대책, 건설사 자구 노력 지원, 주택경기 회복을 위한 규제 완화, 공공공사 조기 발주 확대 등의 전방위적 대책을 시의성 있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