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채 구조조정 시발탄”…중국 경기에 부정적
원·달러 환율에도 악영향…국내 영향 불가피
중국 이탈 외국인 자본, 일본으로…국내 반사이익도 제한적
또 다른 ‘회색코뿔소’가 연초부터 국내 증시로 다가왔다. 홍콩 법원이 29일 빚더미에 앉은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에 청산 명령을 내리면서다. 헝다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빚을 진 부동산 개발업체로, 총부채는 2조3900억 위안(약 443조 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헝다 사태는 이미 금융시장에 선반영되어 있어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면서도 중국발 부채 리스크의 첫 신호탄으로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계했다. 한국경제와 밀접한 중국 리스크는 우리나라의 수출과 경상수지, 환율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국내 외국인 수급의 부담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0.90% 상승한 2500.91에 마감했다. 니케이225(0.77%), 대만가권(0.69%), 항셍지수(0.90%)도 소폭 상승하며 헝다 청산 결정 소식에도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이었다. 헝다 이슈가 이미 시장에 선반영된 탓이다.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2021년 9월부터 관련 이슈들이 계속 나오며 이미 학습효과가 있었다”며 “홍콩증시도 상승폭을 좀 축소하긴 했지만 직접적인 영향은 과거에 비해 적었다”고 평가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헝다의 청산은 상당히 높은 가능성으로 예상됐었다”며 “이미 시장에 충분히 알려진 악재였기 때문에 그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다만, 아시아 정크본드의 주요 발행자였던 중국 부동산 기업의 연쇄부도로 고위험채권(하이일드) 시장이 위축되고, 중국의 부정적인 경기전망으로 문제는 더욱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헝다 청산을 시작으로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의 도미노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당장은 큰 영향이 없겠지만, 또 다른 부동산 개발업체가 연쇄적으로 나올 것이냐가 중요하다”며 “헝다 문제가 중국 부채 구조조정의 첫 시발탄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부동산 부채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적잖은 여파가 있을 것이고, 중국 경기 자체가 휘청거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설화 연구위원도 “앞으로 봐야 하는 건 중국 주택교부 문제다”라며 “아직 팔았지만 완전히 교부 못 한 이슈가 있어 공사가 차질을 빚을 수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 차질이 생기면 올해 중국 경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 경기둔화와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부동산 리스크는 어떤 형태로든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헝다에 이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 등 불씨가 줄지어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비구이위안은 헝다보다 회사 규모가 더 크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의 자금줄 역할을 해온 자산운용사 중즈그룹은 올해 초 파산 절차에 들어갔다.
중국 경제의 불안은 환율에도 타격을 준다. 지난해 8월 비구이위안 사태가 불거졌을 당시 원·달러 환율은 석달 만에 장중 1340원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형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헝다 청산으로 중국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위안화 절하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우리나라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일시적으로 원·달러 환율도 떨어지기 어럽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내 외국인 자본이 이탈에 국내 시장으로 유입되는 ‘반사이익’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나라 경기가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어 외국인 자금을 유인할 요인이 크게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신흥국 시장의 자금을 빨아들이고 있는 인도나,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일본증시로 자금이 흘러가고 있다.
박상현 전문위원은 “이미 중국에서 돈이 워낙 빠져나온 상황이어서 우리나라로 온다고 보기 어렵고, 최근 일본이나 인도가 오히려 더 매력적인 시장으로 인식되는 듯하다”고 말했다.
황세운 실장은 “중국에서 추가적으로 부동산 부실화가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되고 기업들이 더 망가지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해도 중국에서 이탈한 자금이 국내보다는 일본으로 갈 가능성이 더 커보인다”며 “국내 증시의 반사이익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수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