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ㆍ지속 보복 방침
사상 첫 본토 직접 공격 감행 가능
해외 친이란 대리 세력과 인사에 대한 타격도 선택안
경제ㆍ재정적 제재 수위 강화 고려될 수도
친이란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요르단에 주둔한 미군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미국 정부가 강력 보복을 천명했다. 세계 최강 군사대국인 미국이 향후 이란에 어떤 수위로 대응할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본토 직접 공격, 해외 친이란 민병대나 인사들에 대한 타격, 경제ㆍ재정적 제재 등 크게 3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할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앞서 시리아 국경 인근 요르단 북동부에 있는 미군 전초기지 ‘타워 22’가 27일 밤 드론 공격을 받아 미군 3명이 숨지고 40명 이상이 다쳤다. 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간의 전쟁이 발발한 이후 처음으로 중동 지역에서 미군 사망자가 발생한 것이다. 미국은 이란이 이라크에서 조직한 무장조직 ‘카타이브 헤즈볼라’를 공격자로 지목했다. 이란 측은 이번 드론 공격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미국 정부는 연일 강력 대응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전일 언급했듯이 우리가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다양한 수위로 여러 단계로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미국이 이란에 어떤 식으로 응징할지 이목이 쏠린다. WSJ는 미국 당국의 선택지를 3가지로 꼽았다. 먼저 이란 영토에 직접 공격을 감행할 수 있다. 미국이 이란의 선박과 해상 원유 시추 시설에 공격을 가한 적은 있지만 영토 목표물을 가격한 것은 전례가 없다.
상원 군사위원회 공화당 간사인 로저 위커 상원의원은 “우리는 이란과 그 꼭두각시들의 반복적인 공격에 이란의 목표물과 지도부를 직접 타격함으로써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란은 민병대들을 통한 공격으로 미군을 중동에서 철수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는데 강력한 군사적 행동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현재 바이든 행정부는 본토 공격에 신중한 입장이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이란과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란 영토 내부를 타격하지 않는다는 의미냐’는 질문에는 “예고하지 않겠다”고 즉답을 피하면서 “이번 심각한 공격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답했다.
두 번째 옵션으로는 이란 영토 대신에 ‘저항의 축’이라고 불리는 이란의 ‘대리인 네트워크’에 공격이 있을 수 있다. 시리아, 이라크, 예멘에 주둔하고 있는 준군사조직인 이란혁명수비대(IRGC) 정예군 쿠드스군이나 해상에 있는 이란 선박, 이란의 지원을 받는 민병대 등에 대대적 공격을 감행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특히 미국의 드론과 위성으로 면밀히 감시되고 있는 이라크 내에 있는 이슬람혁명수비대와 그 대리인들이 미국 공습의 최우선 대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이란에 추가적인 경제 제재를 가하는 방안이다. 미국은 이란에 대해 세계 어느 나라보다 더 가혹한 제재를 가해왔지만, 제3국이 연루돼 모든 제재가 시행되고 있지는 않다.
에너지 판매를 방해하고 이란을 지원하는 외국기업과 은행에 대한 기존 제재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이란 최대 석유 구매자인 중국의 기업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아이오와 조니 언스트 공화당 상원의원은 “바이든 행정부는 이란의 아픈 곳, 즉 이란의 테러리스트 대리인에게 연료와 자금을 지원하는 그 주머니를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미국은 이란에 광범위한 경제 제재를 단행하기 위해 서방 동맹국들의 동참을 구할 수 있다. 이란이 러시아와 군사 협력을 맺었고,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에서 국제 선박을 상대로 공격을 감행하는 상황에서 일부 유럽국가는 이란에 이미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