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한은 “물가, 지정학적 리스크 등 불확실성 높아…울퉁불퉁한 상황”

입력 2024-02-22 16: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은행, 22일 ‘경제전망’ 발표…올해 경제성장률 2.1% 기존 전망 유지
소비자물가 연간 전망치도 2.6% 유지…“기저효과 상당부분 없어져”
“대외여건 개선됐으나 내수흐름 당초 예상보다 약한 모습”

▲(왼쪽부터) 사진 왼쪽부터 박경훈 모형전망팀장, 김민식 조사총괄팀장, 이지호 조사국장, 김웅 부총재보, 박창현 물가동향팀장, 윤용준 국제무역팀장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물가 전망경로 상에 지정학적 리스크 등 불확실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둔화 추세세를 두고 ‘울퉁불퉁’한 흐름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은 22일 경제전망을 통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작년 11월 전망치와 같은 2.6%로 예상했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기존 2.3%보다 0.1%포인트(p) 하향 조정한 2.2%로 전망했다. 내수 부진으로 전망치를 낮춘 것이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작년 11월에 발표했던 수치(2.1%)를 그대로 제시했다.

한은은 “물가 전망경로 상에는 지정학적 리스크, 국내외 경기흐름, 누적된 비용압력의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물가에 대한 문구도 변경했다. 작년 11월 전망 때는 “물가 리스크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반면, 이번에는 “당분간 물가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지호 한은 조사국장은 “울퉁불퉁한 포장되지 않은 길로 가는 상황인 것 같다”며 “물가상승률이 높은 상황에서 아래로 내려올 때는 전 세계적으로 좀 빠르게 내려오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물가 안정 목표에 가까워질수록 어떻게 보면 유가, 농산물 가격 등이 영향을 미치면서 안정 목표로 가는 데 있어서 평탄하게 가기는 어렵다는 내용을 담아내려고 했기 때문에 (문구가)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에너지 가격 충격으로 물가가 치솟은 이후 둔화되고 있는 과정에 대해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물가는 2022년 7월 6.3%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후에 하락기조를 나타내고 있다.

박창현 한은 물가동향팀장은 “2022년 7월에 정점을 찍고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거의 한 1년간 하락을 했다. 그 과정에서 에너지 가격의 기저효과가 상당부분 좀 사라진 것은 사실”이라며 “기저효과는 글로벌 공통적인 요인이다. 미국, 유럽 지역도 정점 이후에 1년간은 어김없이 하락을 했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는 주춤하거나 등락한 상황이다. 기저효과 부분은 상당부분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민간소비가 부진할 것으로 분석했다. 수출-내수간 차별화는 당초 예상보다 심화될 것이란 전망도 내놓았다. 올해 민간소비 전망치는 1.6%로 기존 예상치 1.9%보다 0.3%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재화수출은 기존 3.3%에서 4.5%로 1%포인트 이상 상향 조정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내수 부진이 전체 성장률을 11월 전망 때보다 0.1%포인트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미국의 견조한 성장세와 반도체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개선이 성장률을 0.1%포인트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서로 상쇄됐다”고 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민간소비가 낮게 나오는데 근본적으로는 고금리, 고물가 영향이 미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면서 “30·40대가 소비핵심연령층인데 이 부분을 깊게 들여다보면 약간 소비의 제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한은은 경상수지를 520억 달러로 당초 전망(490억 달러)보다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상품수지는 반도체 경기회복 지속, 미국의 양호한 성장, 국내 수요 둔화 등으로 흑자폭이 당초 예상보다 확대될 전망”이라며 “서비스수지는 예상보다 저조한 외국인 관광객 입국 등으로 적자폭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25만 명으로 당초 예상(24만 명)보다 1만 명 조정했다. 한은은 “취업자수는 제조업 고용부진이 완화되고 여성·고령층의 노동공급이 지속되겠으나 내수회복 모멘텀 약화 등으로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지난해(33만명)보다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