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 목표 전고체·리튬메탈·리튬황 배터리 기술개발 지원
보급형 배터리 개발도…배터리업계, 올해 9조 원 이상 국내 투자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위해 정부와 배터리 3사가 손을 잡았다. 정부는 유망 배터리 개발에 117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업계는 올해에만 총 9조 원의 설비·연구개발(R&D) 투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강남구 기술센터에서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민관 합동 배터리 얼라이언스'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를 비롯해 △에코프로 △엘앤에프 △포스코퓨처엠 △엔켐 △현대차 △고려아연 등 총 11개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배터리산업협회와 광해광업공단 등의 관계자도 자리했다.
차세대 배터리는 기존 소재와 다른 물질을 사용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이차전지를 말한다. 현재 상용 배터리인 리튬이온전지가 기술적 한계에 도달하며 이를 대체할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의 위험성이 적고 주행거리가 길어 배터리 업계의 관심이 상당하다.
이미 일본의 도요타, 중국의 CATL, 미국의 퀀텀스케이프, 독일의 폭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고, 국내 배터리 3사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SDI는 최근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는 900Wh/L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과 구체적인 양산 준비 로드맵을 공개하기도 했다.
정부는 2028년 개발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리튬메탈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등 3개 분야의 유망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이를 위해 2028년까지 총 1172억3000만 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들 과제에 대해서는 다음 달 과제 공고를 내고, 상반기 중 평가를 거쳐 하반기부터 개발 사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고체 배터리뿐 아니라 보급형 배터리 기술개발 사업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가격이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전기차 시장 부진에 따라 완성차 업체들이 속속 채택 방침을 발표하며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 역시 지난해부터 LFP 개발에 착수했으며, 에코프로, 엘앤에프 등 소재 기업들도 LFP용 양극재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LFP 배터리 개발을 위한 R&D 과제를 추진 중인 정부는 올해부터는 나트륨 배터리 개발을 위한 R&D 과제도 함께 진행한다.
나트륨 배터리는 에너지밀도가 낮고 수명도 보통 수준이지만, 안전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정부는 LFP 배터리 기술개발을 위해 2026년까지 총 233억 원을, 나트륨 배터리 기술개발에 2027년까지 총 282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국내 투자와 관련해 우리 기업들은 올해 총 9조 원 이상의 자금을 설비와 R&D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 중 설비 투자에 총 7.1조 원이 투입되며, 주요 설비로는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라인, 4680 원통형 배터리 생산라인, LFP 양극재 생산라인, 흑연 가공 등 음극재 생산라인 등이다.
이날 회의에서 안 장관은 올해 민관이 함께 풀어야 할 과제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보급형 제품 개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통상현안 대응 △국내 투자를 통한 공급망 자립화 △배터리 전주기 순환 체계 구축 등 5대 과제를 제안했다.
안 장관은 "5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얼라이언스를 시작으로 민관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