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발굴해 기업연결·경협추진
사후 관리 철저히…상생 꾀해야
8년 전 주사우디아라비아 대사 시절 일이다. 사우디 주택장관이 우리나라 수도권 신도시 몇 곳을 방문하고 귀국해서 자기 나라에도 신도시를 지어 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다. 높은 인구 증가로 인한 주택난 해법으로 우리나라 신도시 건설사례를 본받자고 생각한 모양이다. 사우디 사정으로 성사되지 못했는데, 됐더라면 우리 건설업체에 수조 원의 비즈니스가 될 수 있었던 기회였다.
이처럼 해외에서 외국정부 인사들을 만나면 자기들도 한국처럼 발전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부탁할 때가 많다. 보통 개도국들은 제조업과 IT산업 발전을 도와달라고 하고, 에너지낭비가 많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낡은 발전소나 지역난방을 현대화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정책을 전수해 달라고 부탁한다.
이러한 요청을 받을 때면 우리의 발전경험도 해외비즈니스 기회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이라크와 쿠웨이트에서의 스마트시티 건설이나 우즈베키스탄의 지역난방 현대화 컨설팅처럼 이미 현실화되고 있는 사례도 있다. 문제는 어떻게 그런 기회를 찾을 것인가인데, 우리가 갖고 있는 수단을 잘 활용하면 큰 비용 없이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재외공관과 공공기관들의 해외조직망을 활용해 주재국의 잠재수요를 발굴하는 것이다. 현지 인사들과의 대화나 언론보도를 통해 드러난 그 나라의 현안이슈를 꼼꼼히 살펴보면 기회요인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렇게 발굴된 정보를 KOTRA의 ‘해외경제정보드림’ 같은 공공포털에 등재해 기업들과 공유하고, 정부 관련부처에서 해당국과의 경제협력 사업으로 추진하면 실제 비즈니스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적개발원조(ODA)가 비즈니스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올해 90개 이상 국가에 6조8000억 원의 ODA를 지원하고 있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적지만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고, 계속 늘려나갈 계획이다. ODA 중 해외 비즈니스로 연결할 수 있는 유형은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과 ‘경제혁신동반자사업’(EIPP) 등으로, 현재 규모는 연간 약 500억 원에 불과하다. ODA 대부분은 저개발국의 빈곤퇴치 및 자연재해 복구 등에 지원되는 무상원조와 경제협력개발기금(EDCF) 유상차관이 차지한다.
ODA는 공여국의 이익과 직접 연계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운용의 묘를 살리면 기업들의 비즈니스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KSP 과제의 민간제안사업 확대, △비즈니스 유발효과가 있고 사업기간이 긴 KSP+와 EIPP의 확대, △공여대상국 인력을 초청하여 우리나라의 경제·사회발전 정책사례를 교육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 확대 등이 바람직하다.
셋째, 외국과의 경제협력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외 경제협력은 대체로 우리 입장에 치우치고, 정상회담 등 계기에만 반짝하다 사후관리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다보니 상대국 호응도도 떨어지고, 국내 정권이 바뀌거나 윗선에서 안 챙기면 시들해져 지속가능한 협력이 이뤄지지 못했다.
이젠 상생형 협력으로 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즉 외국이 자국 발전을 위해 우리의 지원을 요청하는 것과 우리 경험을 조합해 협력프로젝트로 정하고, 함께 진행상황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면 협력프로젝트 추진과정에서 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도 생기고, 해당 국가에 우리 기업에 우호적인 제도적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
최근 세계경제 상황이 연초 걱정했던 것보다 조금 낫다고 한다. 그러나 해외사업을 하는 기업 입장에선 여전히 외부환경이 어렵고 시장경쟁은 치열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의 세일즈맨 역할을 강조하는데, 우리의 경제·사회발전 경험도 기업의 해외 비즈니스 기회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공직사회 전체의 세일즈맨 역할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