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말 PF 대출 규모·연체율 9월 대비 소폭 증가…금감원 “시스템 리스크 미미”

입력 2024-03-22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금융감독원)

지난해 말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잔액과 연체율이 전년 대비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35조6000억 원으로 같은 해 9월 말 대비 1조4000억 원 증가했다. 업권 별로는 은행(46조1000억 원)과 증권(7조8000억 원)이 각각 1조8000억 원, 1조5000억 원 증가했고, 보험(42조 원)이 1조3000억 원, 상호금융(4조4000억 원) 3000억 원, 저축은행(9조6000억 원)과 여신전문(25조8000억 원)이 각각 2000억 원씩 감소했다.

(출처=금융감독원)

PF 대출 연체율은 전 금융권에서 2.70%로 9월 말(2.42%) 대비 0.28%포인트(p) 늘었다. 업권별로는 저축은행(6.94%)이 1.38%p, 은행(0.35%)이 0.35%p, 여전(4.65%) 등이 0.21%p씩 상승했고, 상호금융(3.12%)이 1.06%p, 증권(13.73%)이 0.11%p, 보험(1.02%)이 0.09%p씩 하락했다.

대출 규모와 연체율이 상승했으나 금감원은 종합적으로 볼 때 금융권이 버틸 수 있는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보는 “연체율 상승 속도와 폭을 보면, 과거 위기 시 나타났던 단기간 내 급격한 상승과는 다르다”며 “연체율의 절대적 수준도 과거 부동산 위기였던 2012년 12월 말 13.6%를 넘어가던 시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출처=금융감독원)

이어 “PF 충당금 적립 강화, 고정 이하 PF 여신 대비 충당금 적립도 109% 수준이며, PF 연체율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큰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충당금 적립률이 150%로 충당금 적립을 많이 해뒀다”며 “완만한 PF 연체율 상승을 금융시스템이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김 부원장보는 “정부 정책뿐만 아니라 한국은행 대출 라인도 조성됐다”며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여력도 있다”고 짚었다.

시장 일각에서 제기되는 PF 대출 만기 집중에 대한 우려를 두고 김 부원장보는 “통계적으로 보고를 받아 보니 올해 연중 만기가 특정한 달에 쏠려있지 않았다”며 “골고루 분산돼 특정 월에 문제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총선 이후 PF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의혹에는 “정치적인 일정으로 PF 대출 상황을 달리 취급하거나 PF 시장을 관리하고, 부실을 이연하는 것은 없다”고 단언했다.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 상승에 대해서는 “그동안 저축은행은 PF 리스크 관리를 다른 업권 대비 타이트하게 하고 있다”며 “이러한 부분이 반영돼 연체율이 오르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한편, 태영건설 워크아웃과 같은 변수가 다시 나타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김 부원장보는 “건설사 별로 자금 사정이나 시장 동향을 촘촘히 모니터링 중이나 시장에 걱정이 없는 것은 아니나 문제가 될 것 같다는 우려를 나타내는 회사는 아직까지는 없다”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하면 언제든 대응하겠다”고 답했다.

금감원은 향후 사업성이 현저히 악화한 PF 사업장은 감독 당국 차원에서 재구조화하고, 경·공매를 통해 부실 정리 여건을 만들고, 정상 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 공급의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PF 연체율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