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상 양치질 아무리 잘해도 관리 어려워
일반적으로 통증이 있기 전까지는 사랑니의 존재에 대해 생각하지 않지만, 구강질환 예방을 위해선 조기에 사랑니를 뽑는 것이 좋다.
사랑니는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구강 내에서 가장 늦게 맹출(치아가 기능하는 정상적인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하며, 구강 내 제일 뒤쪽에 위치한다. 정확한 명칭은 ‘제3대구치’이며 개수는 사람마다 다르다. 상하좌우 4곳에 모두 나는 경우도 있지만, 1~2개만 나거나 아예 나지 않기도 한다.
사랑니는 증상이 없으면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비스듬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맹출해 인접치의 치아 우식이나 치주염 등 구강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사랑니로 인해 인접치의 손상이 있거나 우려되거나 치관주위염(치아 머리 주변으로 염증이 생기는 것)이 발생하면 반드시 발치해야 한다. 또한, 사랑니와 어금니 사이에 자주 음식물이 끼고 사랑니 주변 잇몸이 붓고 아플 때도 발치를 고려해야 한다.
위치상 양치질을 아무리 잘한다고 하더라도 관리가 어렵고, 몸이 피곤하거나 음식물이 끼면 쉽게 붓고 염증이 생기기 쉬워 예방의 차원에서 발치가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치과에 사랑니 발치를 문의하면 간혹 ‘큰 병원에 가서 빼야 한다’라는 말을 듣기도 한다. 이는 매복된 치아가 좌우 아랫입술과 턱 주변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신경관과 근접해있기 때문이다. 발치 과정 중 사랑니 뿌리 끝이 신경표면에 상처를 남겨 일시적 감각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방사선 사진에서 신경관과 겹쳐 보일 때 컴퓨터단층촬영(CT)을 활용해 신경관과 부리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
서미현 서울대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교수(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는 “사랑니는 비정상적인 맹출로 관리가 어렵고, 실제 기능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인접 치아 관리를 위해 발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라며 “매복된 사랑니 중에서는 낭종이나 양성 종양과 연관된 때도 있어 예방의 차원에서 제거를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사랑니를 뽑으면 얼굴이 붓거나 통증이 생기고 입을 크게 벌리기 어려울 수 있다. 발치 2~3일 후 멍이 들거나 침을 삼키기 힘든 증상이 나타나고, 주변 치아가 시린 경우도 있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오래 지속하거나 통증이 심하다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발치 후에 치아 자리가 아물 때까지는 격한 운동과 흡연, 음주를 피하고, 빨대 또한 잇몸에 압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서 교수는 “사랑니로 인한 증상과 통증이 없다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주기적인 검진이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