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한국은행)
시장 전문가들도 이번 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는 여전히 3%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국제유가가 1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물가안정 목표인 2%대 안착에 적신호가 켜졌다.
더욱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과 통화정책 동조성을 고려하면 연준의 피벗(통화긴축 기조 전환·pivot)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 지연에 따라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 역시 4분기로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달리 둔화되기 시작한 내수경로는 하반기 금리 인하 필요성을 높인다”면서 “당초 7월로 봤던 금리 인하 시점을 8월 또는 10월로 늦추고 2회로 봤던 금리 인하 횟수도 1회로 조정한다”고 분석했다.
허진욱·구민정 삼성증권 연구원도 “예상보다 더딘 미 물가 둔화 속도를 반영해 연준의 첫 인하 시점을 9월로 수정하고, 연내 인하 횟수도 2회(9-12월)로 하향 조정한다”며 “한은도 10월과 11월 2회 인하로 하향 조정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