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전문가들은 아직 지켜보자는 분위기지만 중동 확전 여파가 몰고올 국제유가 상승과 이에 따른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긴축 지연 및 추가 긴축 가능성, 미국 내 정치적 불안정 등 어두운 시나리오를 배제할 수 없어 당분간 살얼음판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5.14포인트(0.93%) 내린 2681.82로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의 매수 강도가 약해진 가운데 기관이 8거래일 연속 매도에 나서면서 2700선이 다시 무너졌다.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세에다 금과 원유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가 커진 상황을 고려하면 중동전 확전은 국내 금융시장을 다시 위기로 몰아넣을 가능성이 있다.
12일(현지시간)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6월물 브렌트유는 0.71달러(0.79%) 오른 배럴당 90.45달러로 집계됐다.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장중 온스당 2448.8달러로까지 오르며 고점을 높여가고 있다.
이처럼 주요 자산 가격이 일제히 급등하는 상황에서 터진 중동 확전 위기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다시 자극할 수 있다. 이로 인한 미국의 긴축 장기화 우려는 미 국채 금리를 끌어 올리는 요인이다. 최악의 경우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역대 최대치를 보이는 한미 금리차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유가가 90달러(WTI)대까지 상승하면 물가 불안을 재연될 수 있고, 미 연준의 6월 금리인하 기대감을 약화할 것”이라며 “글로벌 제조업 경기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도 유가 상승은 무역수지 흑자 폭을 줄이고, 수입물가를 올려 물가를 자극하는 리스크다”면서 “특히 연고점을 경신한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달러 강세, 외국인 이탈 부추길까
중동 확전은 달러 등 안전 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이탈 요인이다. 1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전일보다 11.3원 오른 1375.4원을 기록했다. 종가 기준으로 2022년 11월 10일(1377.5원) 이후 1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동전 확전에 따른 추가 달러 강세를 걱정한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200 선물을 1조2469억 원어치 순매도했다. 1월 3일 1조4738억 원어치 순매도한 이후 올해 들어 두 번째로 많은 선물 순매도 규모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높은 경제 회복력을 보이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연초 대비 크게 후퇴했지만, 유럽중앙은행(ECB)은 6월 첫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달러 강세가 나타나고 있다”며 “최근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이 커진 점도 달러화 상방 위험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ECB의 피벗(6월 금리 인하 가능성) 기대에 더해 중동 불안은 달러 강세를 지지하고 있다”면서 “당분간 환율의 하방 경직성과 외국인 수급에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하재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중동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고려할 때 달러와 현금이 2024년의 안전자산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박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