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기 주주총회(주총) 시즌 주주 행동주의 활동 성과에 대해 업권은 ‘아직 미약하다’는 평가가 다수였다. 밸류업 프로그램과 더불어 중장기적인 기업 밸류업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자신감과 더불어 기관의 투자 관행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나왔다.
다수 업계 관계자들은 행동주의 활동이 지난해 대비 개선된 성과를 거뒀지만, 아직 갈 길일 멀다고 평가했다.
업계 관계자 A 씨는 “지난해 대비 활동 건수가 많다 보니 성공 사례도 많아졌다”며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ACGA)가 지난해 투자자들의 각성과 행동주의 펀드의 등장이 한국 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도움이 됐다는 의견을 냈듯이, 행동주의가 지배구조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B 씨는 “전년 대비 성과는 동의하지만, 아직 굉장히 초반 단계”라며 “우리나라는 해외와 다르게 회사에 지배주주가 있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보니 행동주의가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그럼에도 전략을 바꾸거나 집중투표제를 활용한 부분이 새로웠다”고 짚었다.
업권 관계자 C 씨는 “주주 제안에 앞서 회사와 협의를 통해서 성과를 끌어낸 경우도 있어 의미가 크다”며 “표 대결을 펼치면 드는 법률 비용을 포함한 기타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회사에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돼 변화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A 씨는 “아직 우리나라는 행동주의 후진국”이라며 “건수 기준으로 최근에 좀 많아졌다는 것일 뿐 실상을 보면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지적했다.
행동주의 활동이 외려 기업 성장에 저해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문제라는 지적과 더불어 기우일 뿐이라는 반응이었다.
B 씨는 “이러한 비판이 기업 입장인지 대주주 입장인지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다. 행동주의의 방향성은 대주주 입장에서는 반갑지는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C 씨는 “애초에 행동주의 펀드가 활동 중인 기업이 그리 많지 않다. 기업 경영에 애로가 있다는 것은 기우”라며 “행동주의 활동은 대부분 지배 구조에 문제가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경영 잘해온 기업들이라면 행동주의 활동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행동주의가 활성화하기 위해서 업권에서는 기관의 투자 관행이 바뀌어야 하고, 공시제도나 세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봤다.
C 씨는 “우리나라는 행동주의 펀딩이 쉽지 않다. 일단 연기금이 투자를 하지 않는다”며 “폐쇄형으로 해야 하는 행동주의 펀드 특성상 기관들은 관행적으로 폐쇄형·주식형 펀드에 투자하지 않는데,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시 제도 역시 미흡한 점이 많다”며 “내부거래 공시제도 등이 보완이 되면 기업들이 함부로 이익을 편취하는 경우가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A 씨는 “행동주의는 주주로서, 스튜어드로서 당연한 일들을 하는 것”이라며 “지금과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가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