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패러다임 전환…경쟁력 확보한 중국 부상
“외부와의 개방적 협력을 통해 경쟁력 높여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전동화, 자율주행 등의 패러다임 전환을 맞은 가운데 국내 자동차 업계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학계, 민간기업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MA)는 9일 제21회 자동차의 날을 맞아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자동차산업 미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모빌리티 분야 산·학·연·관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자동차산업은 환경과 기술 변화의 가속화로 전동화,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화, 스마트화라는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에 직면하고 있다”며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학계, 민간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효선 산업통상자원부 서기관은 “정부는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맞춰 적기에 우리 기업들이 전환할 수 있도록 부품 업체들에 자금과 일감을 공급하고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에 힘쓸 것”이라며 “미래차 전환 투자의 걸림돌을 개선하기 위해 규제 혁신 역시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자율주행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ICT)·소프트웨어 기업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상무는 “자동차 산업은 전동화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자율주행 등의 기술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막강한 공급망과 생태계를 확보한 중국이 친환경차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테슬라도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 상무는 “현대차와 기아 등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좋은 전기차를 꾸준히 내놓고 있지만 자율주행에 있어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자율주행을 내재화하는 게 가장 큰 숙제”라며 “이를 위해선 인재 유치나 테크 기업ㆍ스타트업과의 협업, 인수합병 등 많은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구민 국민대 교수는 “SDV는 차량 진화의 핵심 이슈가 되고 있다.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기능을 다운로드하고 소프트웨어 오류나 리콜에 대비할 수 있으며, 구독 서비스를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차량 가치 보존과 관리 비용 절감, 수익 창출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SDV 경쟁에서 뒤처지면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 한국 자동차산업은 SDV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관련 회사들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ICT-소프트웨어-자동차 기술의 융합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에서 양진수 현대자동차그룹 경영연구원 상무는 “세계 자동차산업에서 중국 업체와 경쟁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다. 중국이 앞서고 있는 원가, 속도 면에서 격차를 좁히는 것이 필요하다”며 “완성차 업체는 내부적인 혁신과 외부와의 개방적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