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도시 오피스 빌딩 2030년까지 가치 26% 하락”
지난해 펀드 수익률 -11.91%…올해도 50여개 펀드 손실 지속
# 1월 31일, 미국 지역은행 뉴욕 커뮤니티 뱅코프(NYCB)의 주가가 하루 새 37% 급락했다. 상업용 부동산(CRE) 담보로 실행한 대출이 부실화하면서 작년 4분기 예상보다 10배 이상의 대손충당금 설정을 발표한 것이 악재로 작용했다. 주가는 하락을 거듭하며 1997년 이후 최저치로 추락했다. 국제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도 떨어졌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3월 ‘금융위기’ 불안을 고조시켰던 지역은행 실리콘밸리뱅크(SVB)의 파산 사태를 떠올렸다.
# 두 달 뒤인 3월 말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미국 지역은행 5곳(퍼스트 커먼웰스 파이낸셜, M&T 뱅크, 시노버스 파이낸셜, 트러스트마크, 밸리 내셔널 뱅코프)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상업용 부동산 부실 우려가 이유다. 미국 지역은행 등급 전망 하향은 SVB와 시그니처은행 파산 이후 1년 만이다. S&P는 지역은행이 상업용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 뿐만 아니라 고금리에 따른 예금 유지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금알’로 불렸던 80조 원 규모의 해외부동산 펀드가 애물단지 신세가 됐다. ‘뉴 노멀’로 자리잡은 고금리 등의 여파로 오피스 빌딩 같은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으며 해외 부동산 펀드의 부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은행 등 금융사의 위기가 자금시장을 얼어붙게 하고, 부동산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고, 부동산 대출 부실은 은행을 흔드는 ‘퍼펙트 스톰’(초대형 복합 위기)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든다. 경영 컨설팅 회사 맥킨지는 “오피스 빌딩에 대한 수요가 수십 년 동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할 것”이라며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오피스 빌딩의 가치가 2030년까지 적어도 26%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해외부동산 펀드 설정 원본 규모는 2019년 54조 원에서 약 80조 원으로 증가했다. 규모가 늘어난 만큼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올해 2월 미국 상업용 부동산 가격은 2022년 4월 대비 23% 하락했으며, 그중에서도 오피스 부동산 가격은 41% 하락하며 급락세를 시현했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이 뇌관으로 떠올랐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증가하며 오피스 수요가 감소했고, 이에 따라 공실률이 증가하며 가치가 하락했다. 오피스 공실률은 팬데믹 기간 이전에는 16%대였으나, 급격하게 증가해 올해 1월에는 19.7%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변동금리로 자금을 조달한 상업용 부동산 담보대출에 대한 이자비용이 커지면서 연체율도 늘었다.
이는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국내에서 거래되는 해외 부동산펀드 수익률은 2021년에 연초 대비 평균 16.24%까지 올랐으나, 2022년에는 0.45%, 2023년에는 -11.91%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설정액 10억 원 이상 약 50여개 해외부동산펀드 수익률은 마이너스로 부진하다. 해외 부동산펀드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는 2만3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해외 대체투자에서 부실이 발생하면 은행, 보험, 증권사 등의 자산 건전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박영준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는 지난해 대한상의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해외 부동산 대출이 만기가 도래하기 전이라도 자산 가치가 하락하면, 대출 기관이 일부 상환을 요청할 수 있다”며 “외부 차입, 신규 국내 펀드 설정, 현지 자금 조달, 캐피털 콜(펀드 출자자들에게 필요할 때마다 추가 자금 투입을 요청하는 것) 등의 자금 확보 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최적 시점에 팔고 나오는 전략도 필요하다”며 “대출 만기가 도래했는데 차환에 실패하는 경우, 부동산을 할인 매각해 투자금을 조기 회수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지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025년 말 만기가 돌아오는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담보대출 규모는 5600억 달러(약 757조 원)로 전체 부동산의 절반가량이며, 2027년까지 2조2000억 달러(약 2975조 원) 이상의 담보대출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라며 “만기가 다가오는 상업용 부동산의 대출규모가 상당해 고금리와 공실률 증가가 지속되는 경우 위기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해외 부동산 펀드에 투자한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의 손실도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3월 상장폐지된 ‘미래에셋맵스미국부동산투자신탁 9-2호’ 투자자들은 판매사인 미래에셋증권을 대상으로 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투자자 모임을 구성하고 판매사에 제대로 된 설명을 들었는지 등을 파악 중이다.
해당 펀드는 미국 텍사스 댈러스 오피스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대출을 일으켜 투자하는 구조로, 부동산 경기가 호황이면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확산으로 오피스 수요가 급감하고,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조달 비용이 커지면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결국 미래에셋자산운용은 9786억 원에 매입했던 오피스 빌딩을 지난해 10월 약 7830억 원에 매각했다.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만기 연장 대신 매각을 택했다. 총 회수율(최초 투자자 기준)은 환율 1300~1400원 가정 시 기지급 완료된 이익분배금 포함 약 97~100%다. 이익분배금 등을 제외한 원금 회수율은 46~50% 수준이다. 수익률이 반토막 났다는 얘기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오피스빌딩에 투자하는 상품인 ‘하나대체투자사나1호’의 수익자총회에서 만기를 2029년으로 5년 연장했다. 부동산 불황에 매수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스글로벌부동산투자신탁 229, 미래에셋맵스미국부동산투자신탁 11, 한국투자벨기에코어오피스부동산투자신탁2, 한국투자뉴욕오피스부동산투자신탁1 등의 펀드도 1년 수익률이 -30%를 웃도는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