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복 소비에 쓰인 것과 대조
일부 계층서는 저축률도 떨어지는 추세
일본 전체 가처분 소득은 9년 만에 최저
15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가계 초과저축액 중 최대 6조 엔가량이 지난해 지출로 전환됐다고 보도했다.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가 일본 내각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가계 초과저축액 총액은 코로나19 시기였던 2022년 4분기 47조9000억 엔으로 정점을 찍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당시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했는데 사람들이 불확실성으로 소비를 자제하면서 이른바 ‘코로나 저축’으로 불리는 ‘초과저축’이 일시적으로 생겼다. 하지만 초과 저축액은 2023년 4분기 41조9000억 엔으로 감소했다.
코로나 저축은 평상시 가계가 어느 정도 저축하고 있는지에 대한 가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본 내각부가 집계한 코로나19 팬데믹 직전 2015~2019년 평상시 저축률 평균 1.2%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3조4000억 엔 정도의 저축액이 감소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즉 최소 3조 엔에서 최대 6조 엔가량의 초과저축액이 줄어들었다는 이야기다.
일본만 코로나 저축분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도 팬데믹 시기 외부 활동이 제한되면서 소비 대신 저축이 증가해 2021년 가계 저축액이 2조 달러까지 불어났다가 현재 300억 달러대로 크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사용처는 서로 달랐다. 미국에서는 팬데믹 이후 여행이나 외식 등 보복 소비에 저축했던 돈이 주로 쓰였다. 미국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개인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반면 일본은 생활필수품을 사는 데 주로 쓰였다. 총무성 가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 소비지출에서 식료품과 가정 소모품 지출이 전년 대비 각각 5.7%, 2.3% 증가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상품 가격이 오르면서 생필품 지출액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일부 계층에서 저축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팬데믹 이후인 지난해 3분기 65세 이상 남성과 60세 이상 여성 등 고령 무직 가계의 저축률 하락이 두드러졌고, 평균 연 소득 500만 엔 미만인 계층에서도 저축률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연 소득 1000만 엔 이상의 고소득 가계의 저축률은 상승세를 보였다.
가처분 소득도 줄어들고 있다. 닛케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일본의 실질 가처분 소득은 연간 환산 기준 288조 엔으로 2014년 4분기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13개월 연속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