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공여 규제 완화해 자본력 확충하고
현지 인력 채용으로 네트워크 쌓아야
해외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 ‘서학개미’들이 늘어나면서 증권회사들의 해외 진출 모습도 변화하고 있다. 현지에서 투자자를 찾는 게 아니라 아닌 서학개미를 위한 해외 투자처를 발굴하고 연결해주는 방향이다. 전문가들은 다변화되는 수요에 맞춰 해외 사업 전략도 고도화될 필요가 있으며, 규제 완화 등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은 2조3725억 달러로 지난해 말 보다 408억 달러 증가해 2분기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대외금융자산은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이나 기관이 해외로 투자한 금액을 의미한다. 서학개미들의 해외 주식과 펀드 투자가 늘어나면서 증권투자가 469억 달러 늘어난 게 큰 영향을 끼쳤다.
증권사 해외 진출 전략도 이런 수요를 반영하며 바뀌고 있다. 외국 현지에서 한국물을 중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더 다양한 해외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발굴하고 중개하는 역할이다.
미래에셋증권은 브로커딜러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는 미국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투자자는 현지 브로커를 통하지 않고 바로 미국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NH투자증권은 런던과 뉴욕 현지법인에 기업금융(IB) 데스크를 설립해 미주지역 딜 소싱에 나서고 있다. 신한투자증권도 미국 현지법인에서 선진 금융상품을 국내 투자자에게 제공한다.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증권사의 해외 진출 모습이 다양해지는 만큼 이에 걸맞은 자본력과 네트워크를 갖춰야 한다고 주문한다.
특히 해외법인의 자본조달을 위해 금융당국의 적극 협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금융위원회는 올해부터 증권사의 해외 현지법인 신용공여 한도를 10%포인트(p) 확대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해외로 나간 법인이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서 자본력이 필수적인데 대부분 자체적인 조달보다는 모회사 신용을 기반으로 확충하고 있다”며 “다만 국내 규제가 10%p 한도가 늘어난 것으로는 현지에서 체감이 잘 안 된다는 반응이 많다”고 말했다.
최순영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부의 해외 진출 지원은 증권업보다 은행업에 초점을 주고 있기 때문에 정보가 부족하다”며 “로컬 증권사에 비해 현지 금융당국의 의사소통 채널이 부족해 승인 등 절차에서 각종 어려움 겪고 있는데 증권사의 해외사업 관련 정보와 네트워크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며“고 강조했다.
증권사들이 자체 진출 전략을 고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현지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 시장 정보와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라며 “국내 증권사는 최소한의 의사결정권자만 가고 순수한 로컬 출신 인력을 중심으로 운용하되 참여자에 대한 적합한 인센티브로 효율적인 체계를 구성해야 한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