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전망 엇갈려
스위스ㆍ스웨덴ㆍ캐나다에 이어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 인하로 통화정책의 방향키를 틀기 시작한 가운데 이웃 나라 일본의 통화정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본은행(BOJ)이 연내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블룸버그가 지난달 31일부터 5일까지 51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92%가 “일본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직전 조사에서 금리인상을 전망한 응답률(81%)보다 더 높아진 것이다.
다만 인상 시점에 대한 전망은 다소 엇갈린다. 6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본 응답자는 단 1명에 그쳤다. 반면 7월과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점치는 응답률은 각각 33%로 가장 많았다.
일본은행은 지난 3월 17년 만에 마이너스(-)금리를 해제하고 대규모 금융 완화책의 기준이 돼 온 수익률 곡선 제어(YCC) 정책을 폐지했다. 하지만 그 이후 지금까지 금리인상 시점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일본의 물가 지표가 엇갈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엔화 가치 약세가 이어지면서 상황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4월 일본은행이 통화정책결정회의에서 현행 통화정책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엔·달러 환율이 156엔까지 치솟았다. 1990년 5월 이후 34년 만에 최저치다. 엔화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지자 일본 금융당국은 환율 방어를 위해 지난 4월 26~5월 29일 한 달간 9조7885억 엔 규모의 외환시장 개입에 나섰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엔저 대응과 관련해 일본은행의 금리인상 압박이 더 커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73%에 달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오는 13~14일에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당장 금리인상 결정은 없더라도 국채매입 규모 축소와 함께 매파적 기조를 시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6월 회의에서 국채 매입 규모 감소가 결정될 것으로 점쳤다. 반면 국채 매입 규모 변경이 없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률은 26%에 그쳤다.
다만 긴축 정책을 빠르게 진행하지 않을 때 오히려 부작용이 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가라카마 다이스케 미즈호은행 수석 시장이코노미스트는 “금융정책이 확실하지만 천천히 진행되는 것도 위험이 있다”면서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일본은행의 다음 행보가 엔화 시세에 달려있다고 생각하게 됐으며, 이는 엔화 매도 공세에 참여하고 싶은 투기 세력이 움직이기 쉬운 분위기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