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경제정책 추진 적임자…거시경제·금융 정책통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이 새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됐다. 윤석열 정부 집권 2년 차에 경제정책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다. 무엇보다 힘 있는 리더십의 소유자라는 평가를 받는 만큼 금융위원장으로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크다.
김 내정자는 서울대 경제학과 4학년 시절 행정고시 37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출발이 빨랐던 만큼 승진도 빨랐다. 1993년 재정경제원(현 기재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한 김 내정자는 재경원 동기들 가운데 가장 먼저 서기관을 달았다. 차관 승진 때도 1급을 건너뛰고 바로 승진했다. 전임자인 방기선 국무조정실장(34회)과 무려 3기수 차이였다.
탁월한 업무 능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사무관 시절 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 금융정책국에 몸담으며 금융 정책 경험을 쌓았던 김 내정자는 기재부 자금시장과장, 경제분석과장, 종합정책과장, 혁신성장추진기획단장, 경제정책국장 등 기재부 내 정책 관련 핵심 보직을 맡으며 경력을 쌓았다. 이 기간 뮤추얼펀드,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CBO) 등의 제도를 도입했으며 STX그룹, 현대그룹, 동부그룹 등의 구조조정 과정에도 관여했다. 또 미주개발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근무하면서 국제적 감각도 갖췄다.
이에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김 내정자를 금융위원장 후보자로 발표하면서 "재경부와 기재부에서 금융정책과 거시경제정책을 맡은 정통관료"라면서 "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시각과 정책조율 능력, 위기대응능력을 겸비했고 금융과 거시경제 전반에 탁월한 식견을 가져 금융시장을 안정화시키고 정책과제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특히 김 내정자는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을 지내는 등 현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2기 경제팀과도 이미 호흡을 맞춘 바 있다. 경제금융비서관 시절 대통령실 경제수석이었던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함께 일한 것. 또 최 부총리가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을 맡았던 2013년에 김 내정자는 자금시장과장이었다.
김 내정자가 '윤석열 사단'의 막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서울대경제학과 91학번)의 1년 대학 선배라는 점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간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표면적으로는 협력을 강조해왔지만 수시로 '불협화음'을 일으켜 왔다. 이 원장이 정부 금융 정책의 '스피커' 역할을 자처하면서 금융위원장은 상대적으로 존재감이 약하다는 평가도 받았다.
김 내정자가 새 수장으로 등장함에 따라 금융위와 금감원간 관계설정도 다시 이뤄질 것이란 기대감이 금융당국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기재부에서도 탁월한 리더십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현 정부와 친밀한 관계를 쌓아온 만큼 힘 있는 금융위원장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금융위원회 경력이 없다는 점이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역대 금융위 수장 중 최연소라는 점도 다소 껄끄러운 상황이다. 김 내정자는 1971년 생으로 금융감독위원회에서 금융위원회로 개편된 이래 최연소 위원장으로 기록된 제4대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55세)보다 젊다. 금융위 국장급 이상 간부 중에서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김 내정자보다 나이가 많다. 이에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등 고위급 인사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금융당국 다른 관계자는 "워낙 능력이 출중한 만큼 김 내정자의 이력이나 전문성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라면서 "기재부 내에서도 평판도 좋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금융위 조직도 잘 이끌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