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HMGICS가 테스트 베드
전기차 시대 대응 위한 전략
3만 대 규모로 시작…증설도 가능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를 넘어선 현대자동차의 생산전략이 크게 바뀔 전망이다.
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생산전략이 현재의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중장기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현대차는 유연 생산이라고 호칭)’으로 전환된다.
완성차 제조사는 소품종을 대량으로 만들 때 이익이 커진다. 부품을 대량주문하면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공장 가동 효율도 높아진다.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차를 만들 때보다, 한 가지 차를 반복해서 빠르게 생산하는 게 유리하다. 조립품질을 끌어올릴 수 있고 시간당 생산량인 ‘UPH(Unit per Hour)’도 늘어난다. 한때 연산 800만 대를 외치며 양적 성장을 추진했던 현대차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정몽구 명예회장의 ‘품질경영’에서 정의선 회장이 주도하는 ‘질적 성장’ 시대로 변화하면서 생산전략도 점진적으로 개선됐다. 맹목적으로 많이 만들기보다 좋은 차를 더 잘 만들기 위한 새 전략을 세웠다.
무엇보다 전기자동차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생산 시스템도 전환기를 맞았다는 평가다. 글로벌 곳곳에 세운 현대차 공장(기아 포함)은 모두 1997년 준공한 아산공장이 모태다. 아산공장 설계도를 가지고 미국과 브라질, 아시아, 유럽 곳곳에 공장을 세웠다.
대량생산에 유리하지만,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게 단점이다. 미개척 시장을 겨냥해 수천억 원에 달하는 대량생산 공장을 구축하는 것도 여전히 부담이 크다.
이에 현대차는 미니공장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싱가포르 주룽 단지에 들어선 ‘현대차그룹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다.
총넓이 9만 ㎡로 축구장 6개 크기에 지상 7층 규모인 이곳은 자동차 주문부터 시승, 인도 및 서비스까지 실증하는 개방형 혁신기지다.
건물 옥상에 고속 주행이 가능한 총 길이 620m의 고객 시승용 시험 주행 트랙을 마련한다. 이밖에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이착륙장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위한 태양광 패널 등도 구축한다.
무엇보다 연산 3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조립공장도 갖췄다. 생산량에서 아산공장의 10분의 1 수준인 미니공장인 셈이다.
전기차 시대를 맞아 하나의 전용 플랫폼을 바탕으로 다양한 차종을 생산할 수 있는 만큼, 다품종 유연 생산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싱가포르 혁신센터가 성공하면 글로벌 주요 거점으로 이 생산체제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필요할 경우 3만 대씩 증설도 가능하다. 대규모 투자와 동반되는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도 특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