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등과 손잡고 앙골라 철도사업도
중국, 인프라 개발 등으로 영향력↑
광물 공급망 장악 패권주의 의욕
사우디·브라질 등 투자 확대·농업 협력 강화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미국은 앙골라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미국은 유럽연합(EU) 등과 공동으로 앙골라, 잠비아,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을 잇는 철도를 정비하는 ‘로비토 회랑’ 사업을 추진한다.
로비토 회랑은 앙골라 대서양 연안에 있는 로비투 항구와 구리, 코발트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한 잠비아와 DR콩고를 연결하는 약 1300km의 철도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앙골라로서는 최초의 다자 간 프로젝트다. 빅토르 길리엘름 앙골라 계획 장관은 “앙골라는 지리적으로 미국, 유럽 등 세계로 통하는 허브가 될 수 있다”며 “성장성이 매우 큰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앙골라는 원래 중국과 가깝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서방과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관계를 다각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길리엘름 장관은 “앙골라는 모든 국가에 개방적”이라며 “로비투 회랑이 보여주듯 모든 국가와 협력할 수 있으며, 최근에도 중국과 많은 언급을 체결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은 2022년 12월 미국·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고위급 정부 인사를 아프리카에 활발히 파견하고 있다. 지난해 1년간 17명의 고위급 인사가 아프리카 대륙 26개국을 방문했다. 올해에도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서아프리카를 방문하는 등 그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중국 ‘부채의 덫’은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의 수법은 인프라 개발 등을 대가로 거액의 빚을 지게 한 뒤 이를 갚지 못하면 항만, 광산 등 권익을 빼앗는 것인데, 국제 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아프리카 쟁탈전에 나선 것은 미국과 중국뿐만이 아니다.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도 아프리카 시장 개척에 나섰다.
사우디는 작년 11월 처음으로 아프리카와의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펀드를 통해 아프리카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식량 안보를 염두에 둔 농업 분야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브라질은 1970년대 이후 세하도 지역 농경지 개발을 통해 식량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탈바꿈한 경험을 아프리카 지역에서 재현하려 하고 있다.
노모토 다카아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전무이사는 “아프리카는 2050년 인구 약 25억 명의 거대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금부터 관계를 강화해 이익을 얻으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며 “인구 증가와 함께 수요가 늘어나는 농업, 통신, 금융 등의 분야에서 특히 관심이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또 아프리카 각국도 풍부한 자원과 재생에너지의 잠재력을 의식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와 아프리카 국가들은 균형 잡힌 아프리카의 성장과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모색하고 있다”며 “아프리카를 시장으로 보는 것이 세계적인 흐름이라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