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 야외무대에서 총격을 받아 오른쪽 귀 윗부분이 관통되는 상처를 입었다. 20세 남성 총격범은 200∼300야드(약 183∼274m) 떨어진 보안 구역 밖의 건물 옥상에서 반자동 소총을 쏘다 사살됐다. 미 당국은 암살 미수로 규정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이번 사건은 11월 대선을 앞두고 극단적으로 분열된 미국 사회 현주소를 보여준다. 미 대선은 상호 비방으로 얼룩져 있다. 앞서 TV토론에서 트럼프와 조 바이든 대통령은 서로 사상 최악의 대통령이라고 비난했다. 미 민주·공화 양당을 가르는 증오와 갈등의 공방도 위험 수위를 넘나들기 일쑤다. 바이든 대통령은 피격 사건에 “역겹다”고 했고 양 진영도 일제히 정치폭력을 규탄했다. 하지만 네거티브 선거전의 흙먼지가 가라앉을 공산은 많지 않다.
미국은 총격으로 여러 대통령을 잃은 아픈 역사를 갖고 있다. 에이브러햄 링컨(1865년), 제임스 가필드(1881년), 윌리엄 매킨리(1901년), 존 F. 케네디(1963년)가 목숨을 잃었다. 일본에선 2022년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선거 유세 중 사제총기로 공격당해 사망했다. 2021년 아이티의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도 사저 침입자들의 총탄에 살해됐다. 우리나라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과거 지원 유세 도중 피습을 당한 기억이 생생하다. 가깝게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 등이 습격을 당했다.
정치 테러는 분열의 정치와 무관치 않다. 상대방을 향한 증오 발언은 지지층을 열광시키지만 반대편의 분노를 자극하기 마련이다. 강성지지자들의 극단적 행동을 부추길 수 있다. 불특정 다수와 공개적인 장소에서 자주 접촉해 늘 피습 위험에 노출돼 있는 정치인들 스스로가 위험을 키우는 꼴이다.
국가와 국민, 그리고 자유민주주의를 위해서도 폭력과 정치 혐오를 부르는 저질 행태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치인들은 거꾸로 달려가기 일쑤다. 미국만이 아니라 우리도 그렇다.
민주당은 22대 국회 시작과 함께 특검·탄핵에 매몰되고 있다. 이 전 대표 수사 검사 등 4명 탄핵소추를 재추진하는 것이나 대통령 탄핵 청원 청문회에 당력을 쏟아붓는 것은 유권자가 준 권력을 오남용하는 입법 폭주다. 최근엔 검찰청을 없애겠다는 시도도 하고 있다. 정치가 이렇게 굴러가니 나라가 두 동강 나는 것이다.
여야만의 문제도 아니다. 민주당은 4월 총선을 앞두고 당을 친명, 비명으로 나누더니 비명을 다 쓸어내다시피 했다. 옛 당쟁이 이보다 심했을까 싶다.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도 오십보백보다. 당권 주자들의 상호 비방이 도를 넘고 있다. 오죽하면 ‘분당대회’라는 말까지 돌겠나.
자유민주주의 근간을 뒤흔드는 정치 테러는 과도한 분열, 분노, 불신, 대립에서 싹트게 마련이다. 정치권 자성이 필요하다. 트럼프 피격 후 여야는 “증오 정치를 근절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말 잔치로 넘어갔다간 크게 후회할 날이 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