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이 이차전지 소재인 복합동박필름의 양산을 추진한다. 현재 시제품 생산 중으로 제품 인증과 생산 표준 제정화 작업 참여를 통해 초기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복합동박필름은 최근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를 낮출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게 회사 측의 판단이다.
7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아이엠은 양산을 목표로 시제품 생산 중인 복합동박필름은 배터리 열폭주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복합동박필름은 이차전지 필수 소재 중 동박 역할을 하는 제품으로 전지 내에서 음극집전체로 쓰인다. 이차전지 음극재용 복합동박필름은 전통 전해동박을 대체할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전통 동박 동사용량을 60% 이상 줄여 원가를 낮추고, 동박 두께가 얇아져 무게가 줄어들어 시장 경쟁력이 있다.
특히 복합동박은 안전성이 우수한 거로 알려졌다. 최근 인천 청라에서 발생한 전기차 리튬전지 화재사고로 전기차 배터리 안정성이 사회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보통 배터리 발화로 의심되는 화재 사고에선 양극재와 음극재의 중간 분리막 층이 제 기능을 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동박은 페트(PET) 소재를 음극재 양면에 도금해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이기영 아이엠 필름사업부 전무는 “음극재 소재인 동박에 PET소재를 입혀 분리막의 손상이 가더라도 보호층이 있어 열폭주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 하반기 전통적인 동박에 비해 경쟁력 있는 제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시제품의 생산 수율을 높이고 안정성 검증 작업을 위한 작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들도 기존 니켈ㆍ코발트ㆍ망간(NCM) 배터리가 가진 열폭주 현상을 막기 위한 해법으로 복합동박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아이엠이 눠더구펀(NuoDe)과 복합동박 관련 기술교류 협약(MOU)을 체결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회사는 눠더구펀과 화촹(huachuang) 등과 동박 생산기업과 협력해 복합동박 양산화를 추진한다. 두 기업은 글로벌 이차전지 업체인 넝더스다이(CATL)와 비야디(BYD)가 직접 투자한 동박 주요 공급사다.
복합동박필름 양산과 함께 연성동박적층필름(FCCL) 생산도 추진 중이다.
연성동박적층필름은 휴대전화와 액정표시장치(LCD) 등에 쓰이는 연성회로기판(FPCB) 소재다. 일반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하는 동박적층판(CCL)과 달리 두께가 얇다. 디지털 기기가 경량화 추세라 적합한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아이엠은 하이엔드급 연성동박적층판(FCCL)을 통해 FPCB와 칩온필름(COF)용 회로기판의 고사양 시장에도 진입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수요 둔화를 오히려 시장 진입을 위한 시간을 벌어주는 기회로 판단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초정밀 조립 사업에도 진출해 액추에이터, 초정밀 조립 사업, 신소재 사업을 아이엠 성장의 세 축으로 삼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