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롯데, CJ, 하림, 한진 등 유동비율 100% 미만
국내 30대 그룹 재무건전성이 1년 새 크게 악화됐다. 작년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부채비율이 7.6% 상승한 반면 유동비율은 6.4% 하락하면서 재무구조가 급격하게 나빠졌다. 다만 이같은 상황에도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두 배가량 증가했다. 대내외 악조건 속에서도 미래를 위한 투자는 늘린 것이다.
2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 순위 상위 30대 그룹의 재무건전성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부채총액은 3704조9673억 원으로 1년 전(2023년 상반기) 3293조1889억 원 대비 411조7783억 원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부채비율도 171.7%에서 179.3%로 7.6%포인트(p) 늘었다.
이번 조사는 30대 그룹 계열사 중 상반기 보고서를 제출한 301개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부채, 자본, 유동자산, 영업활동 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 등으로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잉여현금흐름을 분석한 것이다.
기업이 단기적으로 부채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유동비율도 악화됐다. 유동비율은 140.3%에서 133.9%로 6.4%p 하락했고, 유동비율이 200% 미만인 기업은 30대 그룹 중 21개나 됐다.
재무건전성은 나빠졌지만 미래를 위한 투자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상반기 실적악화로 30대 그룹은 영업활동 현금흐름(84조5708억 원)에서 투자활동 현금흐름(84조9948억 원)을 뺀 잉여현금흐름이 -4239억원이었다. 즉 벌어들인 돈과 비슷한 규모로 돈을 지출하며 소극적으로 투자한 것이다.
이에 비해 올 상반기엔 실적 개선으로 인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29조142억원 증가한 113조5850억원을 기록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두 배 가까이 늘어난 168조944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잉여현금흐름의 경우 –55조3595억 원으로 대폭 줄었지만, 그만큼 기업들이 미래를 위한 투자에 적극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30대 그룹 계열사 중 금융사를 제외하고 부채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LS다. 작년 상반기 25조4141억 원에서 1년 새 19조5687억 원이 늘어나 44조9828억 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부채비율도 194.6%에서 280.8%로 86.2%p 상승했다. LS그룹 계열사 중 LS네트웍스 부채비율이 130.2%에서 939.7%로 급등했으며, E1도 171.1%에서 529.8%로 증가하면서 그룹 전체 부채비율을 끌어올렸다.
두 번째는 한화그룹으로 부채총액이 222조4423억 원에서 254조4673억 원으로 32조250억 원 늘었다. 부채비율 역시 355.1%에서 403.4%로 48.3%p 상승했다.
다음은 HDC그룹으로 작년 상반기 11조1163억 원의 부채가 올 상반기엔 13조897억 원으로 약 2조 원 증가했다. 부채비율도 129.5%에서 146.6%로 17.2%p 높아졌다.
카카오그룹은 부채비율이 100% 미만인 70.7%였으나 1년 새 15.8%p 상승한 86.5%를 기록하며 네 번째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부채액은 약 1조 원 증가했다.
반대로 부채비율을 가장 크게 낮춘 곳은 셀트리온이다. 셀트리온 부채비율은 46.5%에서 20.6%로 25.9%p 감소했다. 이어 HD현대 부채비율이 186.8%에서 178.9%로 7.9%p 하락했고, 두산그룹은 132.6%에서 125.5%로 7.1%p 낮아졌다.
30대 그룹의 유동성은 더욱 취약해졌다. 21개 그룹에서 유동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 유동비율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을 의미하는데, 클수록 재무유동성이 좋은 기업이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 200% 이상이면 안정적으로 평가된다.
30대 그룹 중 올 상반기 기준 유동비율 200% 이상은 삼성, 영풍, HMM, 농협(비금융계열사에 한함) 등이고, 나머지 26개 그룹은 200% 미만으로 나타났다.
유동비율이 가장 낮은 그룹은 신세계로, 지난 상반기 대비 올해 4.8%p 증가했지만 여전히 73.0%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