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현지 생산 축소 나서
11월 美 대선 후에도 상황 지속할 듯
미국 기업의 중국 비즈니스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IBM 등 IT 대기업들이 중국 연구ㆍ개발(R&D) 체제를 축소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 등 자동차 기업도 본격적인 투자 축소와 생산 감축에 나섰다.
중국 경기침체와 미ㆍ중 무역갈등 장기화로 지난해 미국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51억 달러(약 6조7900억 원)로 전년 대비 약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미국 상무부 자료를 바탕으로 보도했다.
IBM은 중국 R&D 센터의 인도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지 인력 약 1600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IBM은 “수요 변화에 따라 R&D 시스템 운영을 조정하게 됐다”며 “중국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제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IBM이 본격적으로 중국에 진출한 것은 1984년이다. 2010년대부터는 중국 정부기관이나 국영기업에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등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중앙정부의 통신 인프라 확대를 담당해 왔다.
그러나 경기둔화와 중국 기업에 의한 국산화로 해마다 사업이 축소됐다. 지난해 중국 매출은 2022년 대비 약 20% 감소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5월 인공지능(AI) 부문을 포함해 중국 직원 700~800명을 대상으로 해외 전근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조업체들도 중국 사업을 축소하거나 아예 철수하고 있다. GM은 중국 R&D 부문에 대해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동시에 현지 생산 축소에 나섰다.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외국계 점유율은 2020년 61%에서 지난해 42%까지 줄었다. IT 부문과 마찬가지로 중국 현지기업이 값싼 전기차를 앞세워 시장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중국 사업과 관련해 “현지에서 추진 중인 고정비 절감 전략이 여전히 부족하다”라며 “합작사와 사업 재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에도 이런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규제가 여전히 지속 중인 가운데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역시 이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역시 대중국 무역 전쟁을 시작한 장본인인 만큼, 정책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닛케이는 “미국은 전기차 배터리와 반도체 재료 대부분을 중국에서 공급받는다”라며 “반도체 핵심 재료 가운데 하나인 게르마늄은 60%, 갈륨은 세계 공급의 98%를 중국이 맡고 있다”고 지적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이후 반도체 가격이 차례로 인상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이 현상이 지속하면서 양국의 피해가 동시에 확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