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10곳 중 8곳은 최근 1년 내 경영진을 제외한 이사회 구성원이 일반 주주와 직접 소통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일PwC 거버넌스센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외이사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국내 상장사에 재임 중인 사외이사 총 83명을 대상으로 이사회 구성 및 운영,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등과 관한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사회 구성원이 일반 주주와 직접 소통해본 경험을 가진 상장사는 22%였다. 이는 미국 대비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해 PwC미국이 주요 상장사 이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 주주와 소통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4%를 기록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82%는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이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운영의 효과성을 높인다고 평가했다. 정보기술(IT) 및 디지털, 사이버 리스크 관리 역량은 가장 부족한 분야로 지적됐다. 응답자의 82%가 이 역량을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이를 ‘충분히’ 또는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45%에 불과했다.
이사회 평가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61%가 ‘이사회 평가를 실시 중’이라고 응답했지만, ‘효과적인 평가 절차를 갖추고 있다’는 응답은 39%에 그쳤다. 특히 평가 결과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6%에 달해 이사회 평가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사회 내 위원회로는 감사위원회(88%)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65%)를 가장 많이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ESG위원회가 45%를 기록했다. 국내 기업집단 특성상 내부 거래는 중요한 사안임에도 내부거래위원회가 설치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21%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ESG 이슈는 이사회의 주요 안건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7%는 ESG가 이사회의 정기적 안건에 포함됐으며, 52%는 ESG 요소가 회사 전략과 연계됐다고 답했다. 다만 기업 규모에 따라 ESG 감독에 대한 사외이사의 인식 차이가 뚜렷했다.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조원 이상의 기업이 51%였지만, 2조원 미만 기업에서는 18%에 그쳤다.
장온균 삼일PwC 거버넌스센터장은 “이번 보고서는 현재 이사회의 실태를 명확히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매년 사외이사 설문조사를 통해 연도별 추이와 변화를 파악하고, 의미 있는 분석을 제공해 한국 기업 거버넌스의 개선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