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 건전성이 불량대출자 급증으로 위험단계로 추락했다는 것이 신용평가사들의 분석이다. 가계부채가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상승이나 불량률 증가로 질적 악화가 심화되면서 전문가들은 과감한 채무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19일 코리아크레딧뷰로(KCB)는 올해 1~6월 평균 ‘가계신용건전성동행지수가’ 적정수준인 100 아래로 떨어져 99.73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3년 연속 꾸준히 하락하다가 올해 적정수준 밑으로 떨어져 위험단계에 진입했다는 신호다. 이 지수는 KCB가 자체 신용평가 자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개발연구원의 각종 경제지표를 적용해 만든 지수다.
문제는 저신용자뿐만 아니라 모든 등급에서 불량률이 증가해 가계부채 문제가 더는 저신용자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불량률이란 최근 1년간 채무 불이행으로 은행연합회에 통보되거나 석 달 넘게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대출자 비율을 말한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전체 등급 인원 4194만2831명의 불량률이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6%포인트 오른 2.21%를 기록했다. 이는 약 92만6946명이 1년간 빚을 연체하거나 석 달 넘게 원리금 상환을 못 하고 있다는 의미다.
여전히 저신용층의 불량률이 고신용층보다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등급의 불량률은 지난해 9월 5.44%에서 올해 9월 7.12%로 나타났다. 8등급은 8.16%에서 10.01%, 9등급은 12.41%에서 13.39%, 10등급은 30.91%에서 34.46% 불량률을 보였다. 고신용층도 1등급은 0.06%에서 0.07%, 2등급 0.13%에서 0.16%, 3등급은 0.20%에서 0.25%, 4등급은 0.40%에서 0.49%, 5등급은 0.61%에서 0.76%, 6등급은 1.59%에서 2.10%로 전 등급에서 불량률이 증가했다. 이는 이제는 가계부채 문제가 일부 저신용층의 문제가 아니라 고신용층에도 연체가 증가하고 있어 심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에 따라 저신용층 중 빚 감당이 안 되는 채무자의 채무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제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