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 지난 24일 국회에 제출한 현안보고를 통해 애초 2015년 2월까지 분리키로 했던 농협은행과 상호금융의 전산분리를 2017년 2월로 변경하는 내용의 ‘전산시스템 전환 이행 보완계획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근본적인 이유는 당초 양재물류센터에 건립하려던 통합 IT센터의 부지선정이 서울시의 반대로 틀어지면서 완공일정이 늦춰졌기 때문이다.
농협은 현안보고 자료를 통해 2015년 2월이라는 당초 일정을 맞출 경우 현재 전산시스템 설치 공간 부족에 따른 외부 전산센터 임차, 임차 후 통합 IT센터 완공시점에서 재이전으로 데이터 손실, 시스템 장애 등의 문제와 중복투자 등에 따른 비용 문제를 언급하며 2년 연장의 당위를 설명했다.
문제는 이미 노후된 농협의 전산시스템이다. 특히 올 들어 발생한 농협금융의 두 차례 전산마비 사태 중 3월 사고 원인이 외부해킹에 의한 것이라도 해도, 4월 사고 원인은 농협의 낡은 전산시스템 때문에 발생했다 .
4월 전산마비 당시 한 농협 관계자는 “이미 노후된 전산시스템 탓에 불시 고장의 변수는 언제든 있다”고 시인한 바 있다.
때문에 농협은 노후된 전산시스템 교체를 위해서라도 IT분리작업은 시급한 당면과제였다.
하지만 불안한 전산시스템의 분리 및 교체작업을 2년이나 미루면서도 전산사고 예방책으로 언급한 것은 고작 ‘전환 전 추가 사고예방 철저’라는 상투적인 문구뿐이다.
과연 농협이 2011년 전산마비 이후 ‘사고예방 철저’라는 구호를 알지 못해 2년 만에 전산마비 사태가 발생했는지 묻고 싶다.
시간이 갈수록 노후된 농협 전산시스템의 사고 위험이 커진다. 형식적인 전산사고 방지책을 수립해 놓고 사고가 터지면 임원 사퇴로 무마하는 구태를 언제까지 계속할지 걱정된다.
최종 피해자는 결국 금융소비자라는 점에서 전산시스템에 대한 농협의 안일한 방비와 불분명한 책임은 지탄받을 수 없을 것이다.